【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으며 새로운 가치관을 지닌 노인 세대가 등장해 전기·중기·후기 시기 특성별 노인 지원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16일 65세 이상 노인의 사회·경제적 활동, 생활환경, 가치관 등을 조사하기 위해 노인 1만78명을 방문·면접 조사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노인이 생각하는 노인 연령, 재산 상속 등에 대한 가치관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재산 상속에 있어 기존의 재산 상속 기틀을 벗어난 응답을 보인 노인들이 많았다.
선호하는 재산 상속 방식을 물어봤을 때 ‘모든 자녀에게 골고루 상속하겠다’고 응답한 노인이 51.4%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 24.2%, ‘부양을 많이 한 자녀에게 많이 상속’ 8.8%, ‘경제적으로 어려운 자녀에게 많이 상속’ 8.4% 순이었다.
‘장남에게 많이 상속’하겠다고 응답한 노인들은 2008년 첫 노인실태조사 당시 21.3%에서 꾸준히 감소하다가 지난해 6.5%에 그쳤다.
재산을 상속하기보다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응답은 ▲2008년 9.3% ▲2014년 15.2% ▲2017년 17.3% ▲2020년 17.4% 등으로 꾸준히 상승하다 이번에 20%를 넘겼다.
복지부 임을기 노인정책국장은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으로 진입하고 있는데, 이들은 재산을 상속하기보다는 본인이 사용하고 자녀에게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추정한다”고 분석했다.
또 이번 조사에서는 이전 세대에 비해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은 새로운 노년 세대가 등장했다.
조사 결과 노인 가구의 평균 연간 소득은 3469만원, 부동산 자산은 3억1817만원에 달했다.
이외의 항목에서도 ▲개인 소득 2164만원 ▲금융자산 4912만원 등이 집계돼 재산과 관련된 모든 항목에서 2020년 조사 대비 노인 세대의 소득이 큰 폭으로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가구소득 구성은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 53.8% ▲공적 이전소득 25.9% ▲사적 이전소득 8.0% ▲재산소득 6.7% 순이었다. 이 중 일하는 노인 비중은 2017년 30.9%, 2020년 36.9%에 이어 지난해 39.0%를 기록했다.
종사 직종은 단순 노무 33%, 농림어업 숙련노동 20.3%, 서비스 종사자 14.4%, 판매 종사자 12.5% 등 순이었다.
최종 학력에서 고등학교까지 졸업한 노인 비율은 2020년 28.4%에서 지난해 31.2%로, 전문대 이상 졸업자는 2020년 5.9%에서 7.0%로 높아지는 등 교육 수준도 향상됐다.
스마트폰 보유율은 2020년 56.4%에서 지난해 76.6%로 크게 올랐다. 다만 노인의 67.2%는 여전히 ‘정보화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노인들이 생각한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노인 연령은 평균 71.6세였다. 2020년 70.5세 대비 1.1세 상승한 수치다. 전체 노인의 79.1%는 노인의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이라고 답했다.
임 정책국장은 “이번 노인실태조사를 통해 경제상태, 인식 및 가치관, 건강 상태, 가족·사회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되는 노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변화된 정책여건에 맞춰 어르신의 활기차고 존엄한 노후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서비스정책연구실 강은나 연구위원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현재 국가 정책이 규정하고 있는 노인은 65세부터 103세로, 한 세대 안에서도 거의 40년에 가까운 격차가 발생한다”며 “때문에 노인 정책 자체에만 초점을 두기보다 전기, 중기, 후기 노인을 나눠 시기 특성별로 정책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고교 한국사 교과서서 여순사건 ‘반란’ 표현 수정…“왜곡 없어야”
- 지속되는 항공승무원 대상 범죄…폭언·성추행·음주 난동까지
- 이재명 “내일 당장 총격전 벌어져도 이상하지 않아”
- ‘진보 혹은 보수’ 선택의 날…서울교육감 선거 누가 웃을까
- 조전혁 “서울교육 10년 좌우”…본투표 참여 호소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