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설가 한강이 한국 작가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으나 한국 학생들의 독서량은 줄고 문해력은 점점 약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책을 읽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SNS 등에 시간을 빼앗기거나, 과도한 디지털 매체 사용 등이 꼽힌다.
16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교생 한 명이 1년에 학교 도서관에서 빌려본 책은 17.2권이다. 2014년 21.9권에서 21.5% 줄어들었다.
지난해 학교 도서관의 학생 1인당 장서 수는 39.9권으로, 2014년(25.7권)보다 55.3%나 늘었다. 학생 1인당 학교 도서관 자료 구입비 역시 같은 기간 2만657원에서 3만4407원으로 66.7% 증가했고, 국공립학교 사서 교사는 519명에서 1570명으로 세 배 늘었다. 교내 도서관의 시설은 해마다 좋아지고 있지만 학생들의 수요는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민독서실태조사’를 보면 학생들의 연간 도서량은 지난해 34권으로, 2013년(39.5권)보다 13.9% 줄었다. 책 읽기를 좋아한다는 학생 비율은 2019년 43.7%에서 2021년 40%, 2023년 39.6%로 계속해서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온라인, e북(전자책)으로도 독서를 할 수 있는 영향도 있을 것”이라며 “학생뿐 아니라 전 세대에서 독서량이 감소하고 있긴 하다”고 말했다.
독서량 감소에 따른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 문제도 심각하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최근 전국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를 보면 해당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의 비율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이 절반(48.2%)에 가까웠다. ‘31% 이상’이라는 답변도 19.5%나 됐다.
사건의 시발점(始發點)이라고 했더니 ‘선생님이 왜 욕하느냐’고 따져 묻거나, 두발 자유화 토론에서 ‘두발이 두 다리인 줄 알았다’는 학생들도 있었다는 웃지 못할 사례도 나왔다.
|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으로 독서에 대한 관심이 최근 크게 환기된 만큼, 이번 계기를 통해 학생 독서 교육을 강화해 문해력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교육부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적용되는 ‘학교 도서관 진흥 기본계획’을 지난 3월 마련했고, 이를 충실히 이행한다는 입장이다. 기본계획에서 교육부는 사서 교사 정원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전문 연수 과정을 운영해 독서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 학기 한 권 읽기’ 등 교과 독서 수업이 학생 독서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을 내실화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최근 인터뷰에서 “이번 노벨상 수상이 독서교육 활성화로 이어지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