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연미선 기자 햄버거 프랜차이즈 업체에 일반 매장 제품과 배달 서비스 제품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가 도입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프랜차이즈 업체와 배달 플랫폼 업체 간 갈등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양측의 싸움으로 결국 소비자가 비용 부담을 떠안게 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 일반‧배달 간 가격 차이 700~1,300원… 롯데GRS “가맹점 보호”
롯데GRS가 운영하는 버거 프랜차이즈 롯데리아는 24일부터 오프라인 매장과 배달 서비스의 가격을 분리해서 운영한다고 밝혔다. 배달 서비스를 통해 롯데리아를 이용할 경우, 단품 메뉴는 700~800원, 세트 메뉴는 1,300원 수준에서 가격 차이가 나게 된다.
롯데리아는 배달 플랫폼 주문 유입 시 배달 수수료‧중개료‧배달비 등 제반 비용이 매출 대비 평균 약 30% 차지한다고 전했다. 무료 배달 서비스 도입으로 향후 발생하는 가맹점들의 비용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측돼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는 설명이다.
이에 배달 매출이 증가할수록 가맹점의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전국 가맹점 협의회와 함께 가맹점 수익 악화 방지를 위한 최종 배달 서비스 차등 가격 정책안을 수립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롯데GRS 관계자는 “가격 분리 운영에 대한 소비자 알 권리와 선택권 보장을 위해 자사 앱과 외부 배달 플랫폼 등 채널별 가격 정책 변경안을 안내 고지할 것”이라면서 “가맹 본부로서 전국 가맹점 협의회와의 상생 회의를 통해 배달 주문 환경의 변화에 맞추고, 가맹점 이익 보장을 위해 배달 서비스 운영 정책 변경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는 롯데GRS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이미 여러 프랜차이즈에서 매장과 배달 가격에 차등을 두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파파이스는 올해 4월 제품 가격 인상과 함께 배달 서비스 메뉴를 매장 메뉴보다 높은 가격으로 책정했다. KFC도 올해 3월 이중가격제를 2년여 만에 재도입한 것으로 알려진다.
◇ 프랜차이즈 vs. 배달 플랫폼, ‘수수료’ 갈등 격화에… ‘비용 부담’은 소비자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7월 배달비 분석’에 따르면 비회원 배달 주문의 경우 소비자가 부담해야 할 배달비는 최저 1,900원에서 최고 1만원까지 분포하고 있다.
치솟은 배달비에 소비자 이탈 조짐이 보이자, 배달 플랫폼 업체들은 구독 서비스를 통해 차별화 전략을 꾀하는 모양새다. 요기요뿐만 아니라 배달 플랫폼 후발주자였던 쿠팡이츠, 가장 최근에는 배달의민족이 구독 프로그램을 정식 론칭한 것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매달 한 번의 배달비에 해당하는 구독료를 내면 무료 배달이나 할인 혜택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이러한 정책이 갈수록 심해지던 프랜차이즈 업계와 배달 플랫폼 간 수수료 갈등에 기름을 부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일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소속 가맹본사들이 배달의민족 등 플랫폼의 수수료 인상 행위 등을 독과점사업자의 불공정거래 행위로 규정하고 공정위에 신고하는 등 공동 대응에 나서기도 했다.
이날 나명석 비대위원장은 “배달앱 3사가 올해 무료 배달 경쟁으로 인한 비용을 모두 가맹점에 전가해 배달 비중이 높은 치킨‧피자‧족발 등 관련 업계가 초토화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전까지는 소비자와 입점 업체가 분담하던 배달비를 구독 서비스를 통한 무료 배달로 입점 업체만 부담하게 됐다는 지적이다.
이를 두고 배달 플랫폼 업체들은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익성 악화와 배달앱 비용은 관련이 없다는 반박을 이어가고 있다.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 측은 지난달 말 “치킨 2만원어치를 팔 때 배달앱이 6,000원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이 중 배달비(약 2,900원)와 각종 결제수수료 및 부가세(약 1,100원)는 각각 라이더 인건비, 결제 대행사, 정부로 이전되는 비용”이라면서 “이는 배달앱을 통하지 않아도 발생하는 비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발간한 외식산업 인사이트 리포트에 따르면 각종 비용 인상으로 메뉴 가격을 올린 식당 대상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0.35%가 식재료 비용 상승을 원인으로 꼽았다”면서 “다음은 프랜차이즈 본사 지침(2.81%), 공공요금 인상(2.19%), 고용난으로 인한 업무인력 부족(1.40%) 등으로 배달 수수료 부담 때문이라는 답변은 0.61%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프랜차이즈업체들이 배달 서비스 제품 가격과 일반 매장 가격에 차등을 두면서 양측의 수수료 갈등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구독 서비스 미이용자의 경우는 기존 배달비에 더해 높아진 제품 가격까지 이중으로 부담하게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비판은 피할 수 없게 된 모양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