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지난 8월 지속된 폭염으로 첫 녹조 ‘경계’ 단계가 발령된 가운데, 실질적인 녹조 저감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1일 환경단체의 발표를 종합하면 금강 유역에서 세계보건기구(이하 WHO) 기준치 대비 약 68배 수준의 녹조 독성물질이 검출됐다.
보 철거를 위한 금강·낙동강·영산강 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은 지난 10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 박해철 의원 등 의원들과 기자회견을 열어 물관리 정책 정상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시민행동은 지난달 26일 금강 유역인 대청호와 세종보, 강경포구 3개 지점에서 채수해 부경대학교에 성분 분석을 의뢰했다.
그 결과 충청 지역민들 식수원인 대청호 문의취수장 남세균(녹조) 세포 수는 108만셀/㎖이었다. 이는 우리나라 조류경보제 ‘대발생’ 수치인 100만셀/㎖를 넘는 수치다. ‘마이크로시스틴’ 농도는 1221ppb였다.
마이크로시스틴은 조류 독소 중 가장 강한 맹독성 발암 물질로, 남조류에 속하는 마이크로시스티스에서 주로 생성되며 간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같은 날 환경부는 대청호의 남세균 세포 수와 마이크로시스틴 농도가 각각 3만셀/㎖, 2.6ppb 검출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시민행동에 따르면 금강 하류인 논산 강경읍 강경포구의 남세균 세포 수는 296만셀/㎖, 마이크로시스틴 농도는 1634ppb로 WHO 녹조 독성물질 기준치의 68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류경보제 기준 ‘대발생’ 수치의 세 배에 달하는 수치이기도 하다.
반면 금강 상류에 위치하고 수문이 개방된 세종보는 남세균 세포 수가 10만셀/㎖, 마이크로시스틴은 0.48ppb로 비교적 양호했다.
시민행동은 지난 4월부터 환경부의 공주보·세종보 재가동 시도를 저지하고 4대강을 포함한 물관리 정책 정상화를 요구하며 세종보 상류 강변에서 천막 농성을 이어오고 있다.
검출 결과 수치에 나타난 격차에 대해 환경부는 시민행동 측에서 세균이 다수 검출되는 구간(주로 강의 수면, 변두리 등)을 주로 채수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환경부 물환경정책과 이광현 사무관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먹는 물을 끌어오는 취수탑이 표층에 있지 않고 중저층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환경부에서는 강의 상중하 전층을 섞어 검사한다”며 “녹조가 뭉쳐 있는 부분을 ‘스컴’이라고 부르는데, 시민행동 측은 그 부분을 중심으로 검사한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민행동에서는 일라이자 실험법(효소결합면역흡착분석법·ELISA)을 이용해 녹조를 측정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환경부는 엘씨 메스메스법(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LC-MS/MS)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 같은 지점에서 오는 차이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서동일 교수는 본보에 “채수를 한 시기와 위치가 다를 것이고, 같은 장소에서 채수하더라도 바람 등의 영향을 받은 위치는 환경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이 같은 실험 오차가 나타날 수 있다”며 “남세균 역시 생물이기 때문에 자라는 속도가 급속하고, 한 번 자라기 시작하면 천적이 없어 다량으로 검출되기도 한다”고 짚었다.
이어 “녹조가 태양광을 전제로 성장하고, 마이크로시스틴은 조류 생장의 부산물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태양광이 미치지 않는 곳에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면서 “마이크로시스틴이 원액일 경우 독성이 강력하지만 큰 강에서 발견될 경우 희석이 돼 그만큼의 독성을 발휘하지는 못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제시한 녹조 제거선 등의 녹조 대응 방안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서 교수는 “대전이나 청주 등의 지역에서 각종 오염물질이 유입된 것이 녹조의 근본적인 원인인데, 이를 제어하지 않는 현 정부의 방침으로는 절대 녹조를 해결할 수 없다”며 “예산 문제를 핑계로 수십 년째 방치하고 있는데, 현재와 같은 AI시대에서 이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것도 반성해야 할 일”이라고 지적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