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9세 청년 중 배우자나 자녀가 있는 여성은 싱글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취업자 비중이 작고 소득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배우자나 자녀가 있는 남성은 싱글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자산과 소득 수준이 더 높았다.
통계청은 10일 이런 내용의 ‘2022년 25~3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통계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25∼39세 청년 중 결혼해서 배우자가 있는 비중은 33.7%로 전년보다 2.4%포인트(p) 낮아졌다. 연령별 유배우자 비중은 ‘20대 후반’ 7.9%, ‘30대 초반’ 34.2%, ‘30대 후반’ 60.3%로 나타났다. 성별 유배우자 비중은 여자(40.4%)가 남자(27.5%)보다 12.9%p 높았다.
25~39세 청년 중 유배우자의 등록취업자 비중은 73.9%로 무배우자(72.8%)보다 소폭 컸다. 성별로 보면 남자의 등록취업자 비중은 유배우자가 91.1%로 무배우자(73.5%)보다 컸다. 반면 여자는 유배우자의 등록취업자 비중이 61.1%로 무배우자(71.8%)보다 낮았다.
자녀 유무에 따른 등록취업자 비중 역시 배우자 유무와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여성의 혼인 직후 경력 단절 현상을 보여주는 통계다.
25∼39세 상시 임금근로자 청년의 연간 중위소득은 유배우자가 4056만원으로 무배우자(3220만원)보다 더 많았다. 성별로는 남자는 유배우자(5099만원)가 무배우자(3429만원)보다 높았지만, 여자는 무배우자(3013만원)가 유배우자(2811만원)보다 더 높았다.
유배우자 남성이 무배우자보다 중위 소득이 높다기 보단, 적정 소득이 확보돼야 가정을 꾸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배우자가 있어도 자녀를 낳는 비중은 줄었다. 25∼39세 유배우자 청년 중 ‘자녀 있음(유자녀)’ 비중은 74.7%로 직전년도에 비해 0.9%p 낮아졌다. 20대 후반 유배우자 청년이 자녀를 낳는 것은 절반 수준에 못 미쳤다. 연령별로 자녀가 있는 유배우자 청년은 ‘20대 후반’ 49.5%, ‘30대 초반’ 64.8%, ‘30대 후반’ 83.8%였다.
유배우자 청년 중, 자녀가 있는 등록취업자 비중(72.1%)은 자녀가 없는 경우(79.1%)에 비해 낮았다. 출산 이후 여성의 경력 단절이 더욱 심화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여성의 등록취업자 비중은 유자녀일 경우 58.5%로, 무자녀(69.7%)일 때보다 11.2%p 낮았다.
주택 소유 비중 역시 유배우자가 31.7%로 무배우자(10.2%)보다 더 컸고, 남녀 모두 유배우자가 무배우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녀 여부에 따른 주택 소유 비중도 남녀 모두 유자녀(34.4%)가 무자녀(23.8%)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