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차혜영 기자] 현대모비스가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신소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로써 2030년경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글로벌 환경 규제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고성능, 고효율의 소재 기술로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을 높이고 원자재 분야에서 발생하는 무역 분쟁이나 국제 정세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평가다.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핵심 부품의 원천이 되는 소재 역량 강화를 위해 세 가지 주요 전략을 27일 발표했다.
▲첫째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소재 개발 ▲둘째 모빌리티를 선도하는 혁신 소재 개발 ▲셋째 가상 검증 방식을 통한 디지털 재료 구현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신소재 개발에 속도를 내는 주요 이유는 다양한 산업적 요구와 글로벌 환경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라며 “신소재 개발로 환경이 보호될 수 있고 경량화 소재를 개발함으로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 시킬 수 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비용 절감과 기능 향상, 그리고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는 등 복합적인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모비스의 전략은 소부장(소재·부품·장비)의 독자적 경쟁력 확보와 맞닿아 있다.
팬데믹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한 바 있는 현대모비스는 최근 신소재 연구개발 분야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지속 가능한 소재를 통해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할 방침이다. 이런 소재는 재활용 플라스틱 및 바이오 소재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체 하단 긁힘을 방지하는 로어암 보호커버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해 기존 제품과 동일한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재활용 비율을 50%까지 끌어올렸다.
유럽연합(EU)은 2030년부터 신차에 들어가는 플라스틱에 재활용 소재를 25% 사용하도록 법제화를 추진 중이고 현대모비스는 이미 기준치 2배를 뛰어넘는 신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또한 운전석 모듈과 램프 등 다양한 플라스틱 부품에 적용 가능한 30여 종의 신소재도 개발 중이다.
목재 기반 바이오 소재 역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내후성을 강화한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희소 금속 사용을 줄이고 성능은 개선된 신소재 역시 중요하다.
현대모비스는 전기차 인덕터에 니켈 함유량을 기존 50%에서 30%대로 줄인 신소재를 개발했다. 또한 세계 최초로 ‘니켈프리’ 신규 소재도 평가 중이다.
디지털 재료 기술에도 투자하고 있다. IT 기술과 융합하여 다양한 자동차 부품의 소재 특성을 가상으로 예측하고 인공지능으로 새로운 소재를 탐색한다.
이를 통해 정합성을 향상시키고 연구개발 효율성을 높인다.
현대모비스는 이례적으로 100명 이상의 재료공학 연구개발 인력을 보유하고 있고 다양한 전공자 채용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런 노력 덕분에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안전관리 우수연구실로 선정되기도 했다.
김미로 현대모비스 R&D기반기술연구실장은 “ESG 대응을 위한 친환경 소재 개발과 함께 디지털 기술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며 “소재를 다원화하고 대외 의존도를 낮춘 혁신소재를 개발해 모빌리티 경쟁력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인기기사
- 현대차, 美 조지아 전기차 공장…환경 허가 재평가로 차질
- 김병환 금융위원장 “아날로그 금융법제 디지털 전환 가속화할 것”
- 내년 공무원 월급 3% 오른다…병장 월급 205만원
- 임종훈, ‘3자 연합’ 체제 즉각 반박…한미사이언스 경영권 분쟁 지속
- 롯데, 파트너사에 1조 500억원 조기 지급…31개 계열사 동참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