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과의 회담 이후
고위당정서 “26년도 의대 증원 보류” 제안
‘의료개혁’ 이끌 해결사 이미지 가능하지만
‘당정갈등 시즌2’ 우려도…당내 호응 관건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의정 갈등’을 고리로 자신만의 색채 발현에 시동을 걸고 있다. 갈등 해소에 성공할 경우 ‘민생 문제 해결사’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의정 갈등에 섣불리 접근할 경우 의대 정원 증원을 강행하려는 윤석열 대통령과의 ‘당정갈등 시즌2’로 이어질 위험성도 여전한 만큼 한 대표가 원내 의견을 어떻게 모아갈지가 당 안팎의 관심을 끌고 있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 대표는 전날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내년에 모집할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을 보류할 것을 대통령실에 제안했다고 한다. 올해 모집하는 내년도 의대 정원을 1509명으로 늘리기로 한 결정은 유지하되 그 다음 해 증원은 재검토하자는 제안이다. 의정 갈등 장기화에 따른 의료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충안이자, 한 대표가 파악한 유일한 의정 갈등 문제 해법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이를 의식한 듯 한 대표는 이날 오전에 의정 갈등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의료 개혁 과정에서 여러 걱정들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의대 증원이 필요하다는 국민적인 동의는 분명히 있었고 지금도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다만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것은 절대적 가치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 우려에 대해서도 정부가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의정 갈등과 관련해 “이 문제는 많이 진행됐고 되돌릴 수 없는 지점도 있다”면서도 “(정부·의료계 등의) 여러 의견과 소통을 하고 있고 있는데, 할 수 있는 것을 찾아서 최대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당 입장에서도 노력하겠다는 시그널을 내면서, 정부·대통령실의 전향적인 입장 변화를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은 지난 20일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과 비공개 만남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당시 박 위원장과 1시간반 정도 회담을 진행했다. 박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한 대표에게 ‘정부와의 사이에서 역할을 해줬으면 좋겠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한 의원은 “비공개 만남이 새어나간 건 잘못된 일이지만 한 대표 입장에선 박 위원장과의 만남으로 자신이 의정 갈등의 해결사로 나설 수 있는 명분과 이미지를 모두 확보한 것”이라며 “유일한 문제인 대통령의 결단을 이끌어내기 위해 한 대표가 월요일부터 이런 메시지(최고위 발언)를 낸 것이 아니겠느냐”라고 분석했다.

한 대표가 의대 정원 문제를 직접 언급했단 사실이 알려지며, 대통령실과 정면 대결을 펼치는 구도가 펼쳐지는 점은 부담이다.
의정 갈등이 잘 해결되더라도 국가적 현안인 의료위기 해소에 한 대표와 윤 대통령 중 누가 더 주도적 역할을 했느냐 하는 미묘한 자존심 대결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중재 과정에서 당이 때로는 의료계 의견을 일부 반영할 수밖에 없는데, 이 때문에 정부와 대립하는 모양새가 된다면 당정 간 해묵은 감정 싸움이 폭발할 수 있다는 점도 우려되는 지점이다.
일각에선 한 대표가 의정 갈등 문제를 언급한 타이밍에 주목하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한 대표와 박 위원장과의 회동이 흘러나간 건 국정감사가 시작되면 다가올 ‘원내의 시간’에 앞서 원외인 한 대표가 자신이 주목받을 수 있는 이슈인 의정 갈등을 꺼낸 것이 아닌가 하는 얘기가 있다”며 “대통령실과 대립각을 세울 수 있고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이슈인 만큼 한 대표의 주목도를 높이는데는 의정 갈등이 제일 좋은 이슈라는 얘기도 있다”고 관측했다.
이에 당 안팎에선 한 대표가 당내 우군을 확실히 확보하는 게 더 중요해졌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기도 하다. 최근 한 대표는 당내 중진의원들·상임고문들과의 단체 오찬 등을 거쳐 친윤 의원들과의 오찬을 통해 당내 접점을 확대해가고 있다. 친윤계 의원들은 대개 정부와 ‘의대 정원 증원’ 문제에 뜻을 같이 하는 만큼 향후 한 대표가 얼마나 더 많은 의원들을 만나 의정갈등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지가 당정갈등으로 번질 수 있는 불길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란 분석도 나온다.
또다른 국민의힘 관계자는 “한 대표가 조찬·오찬·만찬까지 시간을 쪼개 당내 의원들을 만나고 다니는 이유는 어디까지나 자신의 정책 방향과 당의 변화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함”이라며 “뜻을 같이 할 수 있는 의원들을 많이 설득할 수 있다면 정부에 대한 설득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만큼, 한 대표 입장에선 지금 한 명이라도 의원들을 만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