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미미한 지원 분위기 속에 마감했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을 전문의 중심으로 구조전환하는 등 의료개혁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31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수련병원 126곳은 이날 오후 5시까지 9월 수련을 시작할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를 모집했다. 당초 계획한 건 인턴 2525명, 1년차 레지던트 1446명, 상급년차(2~4년차) 레지던트 3674명 등 전공의 총 7645명 모집이었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지원자에 한해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는 데 무리 없도록 하는 수련 특례를 적용하기로 했지만, 마감 당일까지 지원 움직임은 미미했다. 특히 빅5 병원으로 불리는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조차 지난 30일까지 지원자가 아예 없거나 한 자릿 수에 그쳤다고 알려졌다.
|
이에 따라 현장 의료 공백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부 지방 대학병원은 성인 대상 응급실 진료를 축소하고, 24시간 운영 기관으로 지정된 소아응급실도 운영 시간을 일부 변동하기로 했다.
전공의들 복귀가 요원한 상태에서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을 전문의 중심으로 구조전환하고, 전공의 수련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에 속도를 낸다. 돌아오지 않는 전공의를 마냥 기다리기보다 상급병원에 전문의와 진료지원(PA) 간호사 비율을 늘려 공백을 메우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경증환자까지 상급병원으로 몰리는 구조였기 때문에 이런 구조 전환은 의료개혁 일환으로 진작 시행했어야 했다는 데 의료계도, 정부도 뜻을 같이 한다. 다만 병상과 중등증 환자를 줄이고, 전문의를 늘림으로써 운영을 위한 예산(수가) 문제 등이 따라붙을 수 있다.
이에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중증·필수 수가를 선별 집중 인상해 현장 목소리를 반영할 계획이다. 정경실 의료개혁추진단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설명회를 열어 “의대 증원 효과는 일반의가 나올 때까지 6~11년 걸린다. 그 기간 지역·필수 의료는 여전히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의료 인력을 효율화 하면서도 필수·지역의료를 위한 수가 개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내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의료개혁 방안을 발표한다. 8월 말에는 전공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필수·지역의료 현안 개혁 과제, 재정투자계획 등을 구체화 한 1차 개혁안을 내놓을 방침이다. 정 단장은 “전공의가 복귀 시점 상관 없이 돌아왔을 때 종전과 같은 체계를 벗어나 수련에 집중할 수 있도록 근로시간, 수련체계 등 혁신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언급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