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집중호우에 대응하고 가뭄철 물 확보를 위해 ‘기후대응댐’ 14개 건설을 추진한다. 국내에서 다목적댐 건설이 추진되는 것은 14년 만이다. 정부 주도의 치수(治水) 대책이 나오는 것은 2018년 문재인 정부의 ‘국가주도 댐 중단 선언’ 이후 6년 만이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임 후 첫 브리핑을 열고 기후대응댐 건설 후보지 14곳을 발표했다. 김 장관은 “최근 극한 호우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지난해에는 남부지방에서 기상관측 이래 가장 긴 227일간의 가뭄이 발생했다”며 “극한 홍수와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기후대응댐이 필요한 곳 14곳을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해 선정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에 추진하는 댐에 ‘기후대응댐’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댐을 목적별로 분류하면 다목적댐 3곳, 홍수조절댐 7곳, 용수전용댐 4곳이다. 권역별로는 한강 권역 4곳, 낙동강 권역 6곳, 금강 권역 1곳, 영산강·섬진강 권역 3곳이다.
새로 짓는 다목적댐 3개 중 2개는 한강권역에 들어선다. 강원 양구와 경기 연천에 들어서는 ‘수입천댐’(1억t)과 ‘아미천댐’(4500만t)이다. 다목적댐은 홍수 조절, 용수 공급 등 2개 이상의 기능을 목적으로 건설되는 대규모 댐을 의미한다. 이번 댐 추진 계획에서 가장 규모가 큰 수입천댐은 완공시 하루 70만명이 마실 수 있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댐 건설로 인해 수몰되는 민간 가옥도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환경부는 “(한강권역은) 홍수 방어와 용수 공급 능력 모두 필요한 상황”이라며 “이미 소양강댐과 충주댐 용량의 94%를 용수로 사용 중이라, 극한 가뭄 발생 시 물 공급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남은 다목적댐 1개는 금강 권역 충남 청양군에 새로 짓는 지천댐(5900만t)이다. 지천은 상습적 가뭄·홍수가 발생하는 곳으로 올 장마철에도 홍수가 발생했다. 지천댐이 건설되면 충남 서부 지역의 고질적 가뭄을 해소할 수 있고, 하루 38만명에게 먹는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용수전용댐 4개는 한강 권역 2개, 낙동강 1개, 섬진강 1개 씩 추진한다. 한강 권역은 강원 삼척 산기천댐(100만t), 충북 단양 단양천댐(2600만t)을 지을 예정이다. 낙동강은 경북 청도 운문천댐(660만t), 섬진강은 전남 화순 동복천댐(3100만t)을 짓기로 했다.
홍수조절댐 7곳은 낙동강 권역 5곳, 섬진강 1곳, 영산강 1곳에 추진된다. 낙동강 권역에선 경북 김천 감천댐(1600만t), 경북 예천 용두천댐(160만t)이 새로 지어진다. 경남 거제 고현천댐, 경남 의령 가례천댐, 울산 울주 회야강댐은 기존 댐을 리모델링한다. 섬진강·영산강 권역인 전남 순천 옥천댐과 전남 강진 병영천댐도 기존 댐을 재개발하기로 했다.
이번 댐 추진으로 총 저수용량은 3억2000만t 늘어나고, 생활·공업용수 용량은 연간 2억5000만t이 늘어나게 된다.
김완섭 장관은 “지금 시작해도 (완공까지)10여년 정도가 소요된다”며 “최근의 기후 위기를 감안할 때 댐 건설을 더 이상 늦출 여유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역과 소통하고 의견 반영해서 주민과 우리가 윈-윈하는 댐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