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14년 만에 다목적댐 건설 추진…정부, 전국 14곳에 물그릇 확보

조선비즈 조회수  

김완섭 환경부 장관이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14곳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김완섭 환경부 장관이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14곳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집중호우에 대응하고 가뭄철 물 확보를 위해 ‘기후대응댐’ 14개 건설을 추진한다. 국내에서 다목적댐 건설이 추진되는 것은 14년 만이다. 정부 주도의 치수(治水) 대책이 나오는 것은 2018년 문재인 정부의 ‘국가주도 댐 중단 선언’ 이후 6년 만이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임 후 첫 브리핑을 열고 기후대응댐 건설 후보지 14곳을 발표했다. 김 장관은 “최근 극한 호우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지난해에는 남부지방에서 기상관측 이래 가장 긴 227일간의 가뭄이 발생했다”며 “극한 홍수와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기후대응댐이 필요한 곳 14곳을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해 선정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에 추진하는 댐에 ‘기후대응댐’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댐을 목적별로 분류하면 다목적댐 3곳, 홍수조절댐 7곳, 용수전용댐 4곳이다. 권역별로는 한강 권역 4곳, 낙동강 권역 6곳, 금강 권역 1곳, 영산강·섬진강 권역 3곳이다.

새로 짓는 다목적댐 3개 중 2개는 한강권역에 들어선다. 강원 양구와 경기 연천에 들어서는 ‘수입천댐’(1억t)과 ‘아미천댐’(4500만t)이다. 다목적댐은 홍수 조절, 용수 공급 등 2개 이상의 기능을 목적으로 건설되는 대규모 댐을 의미한다. 이번 댐 추진 계획에서 가장 규모가 큰 수입천댐은 완공시 하루 70만명이 마실 수 있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댐 건설로 인해 수몰되는 민간 가옥도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환경부는 “(한강권역은) 홍수 방어와 용수 공급 능력 모두 필요한 상황”이라며 “이미 소양강댐과 충주댐 용량의 94%를 용수로 사용 중이라, 극한 가뭄 발생 시 물 공급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전국 14개 기후대응댐 후보지. /환경부 제공
전국 14개 기후대응댐 후보지. /환경부 제공

남은 다목적댐 1개는 금강 권역 충남 청양군에 새로 짓는 지천댐(5900만t)이다. 지천은 상습적 가뭄·홍수가 발생하는 곳으로 올 장마철에도 홍수가 발생했다. 지천댐이 건설되면 충남 서부 지역의 고질적 가뭄을 해소할 수 있고, 하루 38만명에게 먹는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용수전용댐 4개는 한강 권역 2개, 낙동강 1개, 섬진강 1개 씩 추진한다. 한강 권역은 강원 삼척 산기천댐(100만t), 충북 단양 단양천댐(2600만t)을 지을 예정이다. 낙동강은 경북 청도 운문천댐(660만t), 섬진강은 전남 화순 동복천댐(3100만t)을 짓기로 했다.

홍수조절댐 7곳은 낙동강 권역 5곳, 섬진강 1곳, 영산강 1곳에 추진된다. 낙동강 권역에선 경북 김천 감천댐(1600만t), 경북 예천 용두천댐(160만t)이 새로 지어진다. 경남 거제 고현천댐, 경남 의령 가례천댐, 울산 울주 회야강댐은 기존 댐을 리모델링한다. 섬진강·영산강 권역인 전남 순천 옥천댐과 전남 강진 병영천댐도 기존 댐을 재개발하기로 했다.

이번 댐 추진으로 총 저수용량은 3억2000만t 늘어나고, 생활·공업용수 용량은 연간 2억5000만t이 늘어나게 된다.

김완섭 장관은 “지금 시작해도 (완공까지)10여년 정도가 소요된다”며 “최근의 기후 위기를 감안할 때 댐 건설을 더 이상 늦출 여유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역과 소통하고 의견 반영해서 주민과 우리가 윈-윈하는 댐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조선비즈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BTS에 전적으로 의존 안해'...하이브, BTS 매출 비중 95%→20%
  • ['전세사기' 끝나지 않은 재난] ③ 일상 옥죄는 비극…청춘·코리안 드림 모두 무너졌다
  • 대통령측 "야당이 초래한 국가비상사태...누가 내란범인가"
  • “한국에서는 답이 없다” … 심상치 않은 움직임, 정부까지 나섰지만 ‘과연’
  • [아산시 소식]2025년 악취 중점 관리 사업장 합동점검반 운영 등
  • 목포해경, 화재선박 진압과 조업 강행 관리선 3척 적발

[뉴스] 공감 뉴스

  • [인천 시정 특집] 일하고 싶은 매력적 공간…“청년들이여 오라”
  • [우리동네 1사-1시장] 학생의 놀라운 생각, 시장의 놀라운 변신
  • [인천 교육 돋보기] 인천 '폐교' 살리기
  • 인천문화재단 '되돌린 시간 되짚은 공간' 사진기록물 발간
  • [25일 헌재 앞에선] 부정선거 음모론만 난무  
  • 실제 모습 유출된 S25 엣지, 하루만에 삭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볼보 최초의 전기 세단” 벤츠부터 테슬라까지 다 잡는다!
  • “군산서 중국차 생산 확정!” 택배차 싹 바뀔 다마스급 상용차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그라나도 에스파다M, 1주년 맞아 로드맵 발표

    차·테크 

  • 2
    “벚꽃 구경, 올해는 언제?”… 강추위 영향 개화 시기 분석

    여행맛집 

  • 3
    KIA 예비 FA 외야수 최대어 최적의 타순…박찬호·김도영과 연관성, 까다로운 1번 or 강한 2번 or 공포의 9번

    스포츠 

  • 4
    '트레이드 이적생' 조상우, KIA 유니폼 입고 첫 실전 등판…"잘 적응하고 있다는 모습만 보이면 만족" [MD오키나와]

    스포츠 

  • 5
    "하나 먹으면 시원해질 텐데" 칼칼하고 아픈 목…박하사탕 먹어도 될까

    여행맛집 

[뉴스] 인기 뉴스

  • 'BTS에 전적으로 의존 안해'...하이브, BTS 매출 비중 95%→20%
  • ['전세사기' 끝나지 않은 재난] ③ 일상 옥죄는 비극…청춘·코리안 드림 모두 무너졌다
  • 대통령측 "야당이 초래한 국가비상사태...누가 내란범인가"
  • “한국에서는 답이 없다” … 심상치 않은 움직임, 정부까지 나섰지만 ‘과연’
  • [아산시 소식]2025년 악취 중점 관리 사업장 합동점검반 운영 등
  • 목포해경, 화재선박 진압과 조업 강행 관리선 3척 적발

지금 뜨는 뉴스

  • 1
    日 토요타 전설의 스포츠카 3종 부활시킨다

    차·테크 

  • 2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경제 

  • 3
    용산구, 갈월종합사회복지관 새 단장 후 운영재개

    여행맛집 

  • 4
    용산구, 2025 용산형 진학지원사업 종합계획 중학생까지 확대

    여행맛집 

  • 5
    “사춘기 아들 때린 적 있다” 안정환, 아버지로서 아픈 고백 (+이유)

    연예 

[뉴스] 추천 뉴스

  • [인천 시정 특집] 일하고 싶은 매력적 공간…“청년들이여 오라”
  • [우리동네 1사-1시장] 학생의 놀라운 생각, 시장의 놀라운 변신
  • [인천 교육 돋보기] 인천 '폐교' 살리기
  • 인천문화재단 '되돌린 시간 되짚은 공간' 사진기록물 발간
  • [25일 헌재 앞에선] 부정선거 음모론만 난무  
  • 실제 모습 유출된 S25 엣지, 하루만에 삭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볼보 최초의 전기 세단” 벤츠부터 테슬라까지 다 잡는다!
  • “군산서 중국차 생산 확정!” 택배차 싹 바뀔 다마스급 상용차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추천 뉴스

  • 1
    그라나도 에스파다M, 1주년 맞아 로드맵 발표

    차·테크 

  • 2
    “벚꽃 구경, 올해는 언제?”… 강추위 영향 개화 시기 분석

    여행맛집 

  • 3
    KIA 예비 FA 외야수 최대어 최적의 타순…박찬호·김도영과 연관성, 까다로운 1번 or 강한 2번 or 공포의 9번

    스포츠 

  • 4
    '트레이드 이적생' 조상우, KIA 유니폼 입고 첫 실전 등판…"잘 적응하고 있다는 모습만 보이면 만족" [MD오키나와]

    스포츠 

  • 5
    "하나 먹으면 시원해질 텐데" 칼칼하고 아픈 목…박하사탕 먹어도 될까

    여행맛집 

지금 뜨는 뉴스

  • 1
    日 토요타 전설의 스포츠카 3종 부활시킨다

    차·테크 

  • 2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경제 

  • 3
    용산구, 갈월종합사회복지관 새 단장 후 운영재개

    여행맛집 

  • 4
    용산구, 2025 용산형 진학지원사업 종합계획 중학생까지 확대

    여행맛집 

  • 5
    “사춘기 아들 때린 적 있다” 안정환, 아버지로서 아픈 고백 (+이유)

    연예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