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비중이 또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다만 증가율은 소폭 둔화하는 추세다.
통계청은 29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를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는 949만7천명으로 집계돼 전년보다 45만1천명(5.0%) 증가했다.
고령인구 중 65∼74세가 전체 고령인구의 58.2%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75∼84세는 31.3%로 집계됐고 85세 이상 초고령자 비율도 10.5%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85세 이상 인구가 7.3%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65∼74세는 5.2%, 75∼84세는 3.8% 늘었다.
내국인 고령인구 중 친족과 함께 거주하는 인구는 72.2%(685만6천명)이고, 혼자 사는 인구는 22.5%(213만8천명), 집단가구에 거주하는 이들은 3.4%(31만9천명)로 집계됐다.
가구로는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681만3천가구로 전체 일반 가구의 30.9%를 차지했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374만4천가구)는 17.0%를 차지했고 이 가운데 고령자 1인 가구(213만8천가구)를 추리면 전체 일반 가구 중 비율은 9.7%로 나타났다.
1인 가구는 782만9천가구로 1년 전보다 32만7천가구(4.4%) 증가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5%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0%포인트(p) 증가해 역대 가장 큰 비중을 기록했다.
결혼이 줄고, 고령화로 혼자 사는 가구가 늘어나는 등 여러 요인으로 1인 가구는 계속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다만 증가율은 2020년 8.1%에서 2021년 7.9%, 2022년 4.7%, 지난해 4.4% 등으로 둔화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연령대별 비율은 20대 이하가 18.6%로 가장 높다. 60대와 30대가 17.3%씩으로 나타나 뒤를 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의 경우 30대가 21.8%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대 이하(18.7%), 50대(17.6%)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여자는 60대(18.6%)에서 비중이 가장 컸다. 20대 이하(18.4%)가 비슷한 비중이었고 70대(15.2%)가 뒤를 이었다.
한부모가구는 전체 가구의 6.8%(149만3천가구)로 집계돼 직전 해보다 1천가구(0.1%) 줄었다. 미혼모·부는 모두 2만5천명이다. 미혼모가 2만명(78.8%)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