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복지 기준선, 3년 연속 ‘역대 최고’… 2000㏄ 소나타 있어도 생계급여

조선비즈 조회수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3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스1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3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스1

각종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가르는 기준선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이 내년에 6.42% 오른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3년 연속 ‘역대 최고’ 인상폭 기록을 세웠다. 내년에는 중형차인 2000㏄ 소나타를 갖고 있어도 다른 소득이 적으면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25일 제73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개최해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기준 중위소득은 국가 가구소득의 중간값이다. 국내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뜻한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해 13개 부처 74개 복지 사업의 선정기준으로 활용된다.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609만7773원이다. 올해(572만9913원)보다 6.42% 올랐다. 1인 가구 기준으로는 올해(222만8445원)보다 7.34% 오른 239만2013원으로 결정됐다. 1인 가구는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등 전체 수급가구의 약 74%를 차지한다.

연도별 기준 중위소득 증가율(4인 가구 기준)은 2016년 4.00%, 2017년 1.73%, 2018년 1.16%, 2019년 2.09%, 2020년 2.94%, 2021년 2.68%, 2022년 5.02%, 2023년 5.47%, 2024년 6.09%다. 올해 처음 6%를 돌파했고, 내년에는 이보다 더 높아졌다.

생계급여 선정 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32%다. 의료급여는 40%, 주거급여는 48%, 교육급여는 50%로 올해와 같다. 생계급여 선정 기준은 종전에 30%였으나 올해 32%로 높아졌다.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 임기 내에 생계급여 선정 기준을 기준 중위소득의 35%까지 올린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생계급여는 선정기준이 곧 최저보장수준이다. 4인 가구 기준으로 올해 183만3572원에서 내년 195만1287원으로 인상된다. 임차가구의 전·월세 비용이나 자가 주택 보수비용을 지원하는 주거급여는 기준 임대료를 올해보다 급지·가구원수에 따라 1만1000~2만4000원 인상했다. 자가 가구의 주택 수선비용도 올해보다 133만~360만원 올렸다. 교육급여는 교육활동지원비를 올해보다 5% 인상했다.

의료급여는 합리적 의료이용을 유도하고 비용 의식을 확산하려 17년간 변화 없이 유지되던 현행 정액제 위주의 본인부담체계를 정률제 위주로 개편한다. 연간 365회를 초과한 외래 진료는 본인 부담을 상향한다. 정액제가 정률제로 바뀌면 본인 부담금이 진료비에 비례해 높아져 과다하게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생계급여 수급 대상을 확대하고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도록 자동차 재산을 소득에 반영하는 제도를 바꾼다. 현재 자동차는 배기량 1600㏄, 가액 200만원 미만이어야 가격이 100% 소득으로 잡히지 않아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다. 내년부터는 기준을 배기량 2000㏄ 가액 500만원 미만으로 높여 중형차인 소나타 보유자도 다른 소득이 적다면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다.

또 부양 의무자의 경제 여건에 따라 생계급여 수급 대상에서 탈락하는 기준을 ‘연 소득 1억원 또는 일반재산 9억언 초과’에서 ‘연 소득 1억3000만원 또는 일반재산 12억원 초과’로 완화한다. 내년에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되고 규정 완화로 7만1000명이 새롭게 생계급여를 수급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 “현 정부의 약자복지 강화 기조를 고려해 기준 중위 소득은 3년 연속 역대 최고 수준”이라면서 “어려운 경기 상황에서도 저소득층의 생활이 한층 나아질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조선비즈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재작년 임금근로 소득 月363만원… 7년만에 ‘최소폭’ 증가
  • 삼성전자, ‘차별화된 AI’ 가전으로 북미 공략
  • ‘尹 국민변호인단’, 탄핵 반대 19만명 탄원서 헌재 제출
  • 서울 서대문구 ‘예산 파동’, 野 합의 깨고 與 본회의장 점거… “중앙 정치와 닮은 꼴”
  • 포르쉐·벤츠 아니었다… 올해의 차는 스웨덴 전기차 ‘폴스타4’
  • 3명 사망…천안 서울세종고속도로 붕괴 사고, 처참한 현장 (사진)

[뉴스] 공감 뉴스

  • KDI “기초연금 선정기준, 중위소득 50%로 축소하고 지급액 늘려야”
  • 공정위, “알짜 택지 딸 회사에 전매” 대방건설에 과징금 205억… 법인 고발
  • 세종청사 옥상정원으로 봄나들이 오세요… 3월 1일부터 개방
  • “우리 이혼합니다”… 中, 이혼률 급격히 올라가더니 ‘결국’, 韓 “남의 일이 아니다”
  • "하루가 급해"··· SK하이닉스 1기 팹 앞당겨 착공
  • 복권기금 지원으로 장애 과학기술인 연구 기회 확대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우렁차게 뻗어나가는 김태리의 소리, 그리고 기개

    연예 

  • 2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경제 

  • 3
    "모든 잘못 당신 때문이야"→맨유 폭망 원인으로 지목된 한 사람…팀 발전 막은 '장본인'으로 '낙인' 충격

    스포츠 

  • 4
    김혜성 ML 첫 안타친 날, '샐러드 먹다 식도 파열' 돌아온 30억 유리몸 털보 투수 고백…"그땐 정말 짜증 났는데"

    스포츠 

  • 5
    '5270억원' MVP만 특급도우미? '한국계' NLCS MVP도 있다! "김혜성 많은 성장, 좋은 선수 됐다" [MD글렌데일]

    스포츠 

[뉴스] 인기 뉴스

  • 재작년 임금근로 소득 月363만원… 7년만에 ‘최소폭’ 증가
  • 삼성전자, ‘차별화된 AI’ 가전으로 북미 공략
  • ‘尹 국민변호인단’, 탄핵 반대 19만명 탄원서 헌재 제출
  • 서울 서대문구 ‘예산 파동’, 野 합의 깨고 與 본회의장 점거… “중앙 정치와 닮은 꼴”
  • 포르쉐·벤츠 아니었다… 올해의 차는 스웨덴 전기차 ‘폴스타4’
  • 3명 사망…천안 서울세종고속도로 붕괴 사고, 처참한 현장 (사진)

지금 뜨는 뉴스

  • 1
    '손흥민 영입설' 맨유, 가르나초 충격 방출 계획…'손흥민 이적료 확보'

    스포츠 

  • 2
    버틀러 영입 신의 한 수 되나…커리 끌고→버틀러 밀고! 확 달라진 GSW, 댈러스 완파하고 2G 연속 24점 차 대승+3연승

    스포츠 

  • 3
    밥 지을 때 '이것' 하나만 넣어보세요… 다이어트에도 도움 돼요

    여행맛집 

  • 4
    기사회생! U-20 축구대표팀, 13년 만에 우승 도전…결승서 한일전 성사?

    스포츠 

  • 5
    '조선의 사랑꾼' 김태원 아내 "딸 韓 결혼식 반대 이유? 자식·남편이 괴롭혀서" 눈물 [TV캡처]

    연예 

[뉴스] 추천 뉴스

  • KDI “기초연금 선정기준, 중위소득 50%로 축소하고 지급액 늘려야”
  • 공정위, “알짜 택지 딸 회사에 전매” 대방건설에 과징금 205억… 법인 고발
  • 세종청사 옥상정원으로 봄나들이 오세요… 3월 1일부터 개방
  • “우리 이혼합니다”… 中, 이혼률 급격히 올라가더니 ‘결국’, 韓 “남의 일이 아니다”
  • "하루가 급해"··· SK하이닉스 1기 팹 앞당겨 착공
  • 복권기금 지원으로 장애 과학기술인 연구 기회 확대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추천 뉴스

  • 1
    우렁차게 뻗어나가는 김태리의 소리, 그리고 기개

    연예 

  • 2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경제 

  • 3
    "모든 잘못 당신 때문이야"→맨유 폭망 원인으로 지목된 한 사람…팀 발전 막은 '장본인'으로 '낙인' 충격

    스포츠 

  • 4
    김혜성 ML 첫 안타친 날, '샐러드 먹다 식도 파열' 돌아온 30억 유리몸 털보 투수 고백…"그땐 정말 짜증 났는데"

    스포츠 

  • 5
    '5270억원' MVP만 특급도우미? '한국계' NLCS MVP도 있다! "김혜성 많은 성장, 좋은 선수 됐다" [MD글렌데일]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손흥민 영입설' 맨유, 가르나초 충격 방출 계획…'손흥민 이적료 확보'

    스포츠 

  • 2
    버틀러 영입 신의 한 수 되나…커리 끌고→버틀러 밀고! 확 달라진 GSW, 댈러스 완파하고 2G 연속 24점 차 대승+3연승

    스포츠 

  • 3
    밥 지을 때 '이것' 하나만 넣어보세요… 다이어트에도 도움 돼요

    여행맛집 

  • 4
    기사회생! U-20 축구대표팀, 13년 만에 우승 도전…결승서 한일전 성사?

    스포츠 

  • 5
    '조선의 사랑꾼' 김태원 아내 "딸 韓 결혼식 반대 이유? 자식·남편이 괴롭혀서" 눈물 [TV캡처]

    연예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