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양희은이 라디오 생방송을 진행하며 고(故) 김민기를 추모했다.
양희은은 24일 MBC 라디오 ‘여성시대 양희은, 김일중입니다’에서 김민기의 ‘아침 이슬’을 선곡한 뒤 “가수이자 작사·작곡가, 공연 연출가, 그런 수식어로도 부족한 김민기 선생이 돌아가셨다”라며 “선생의 음악을 아끼는 당당이(청취자를 부르는 애칭)님들과 함께 선생의 영원한 평화와 안식을 기도한다”고 말했다.

양희은은 1971년 김민기가 작곡한 ‘아침 이슬’이 수록된 음반을 통해 가요계에 데뷔했다. 그의 대표곡 중에는 ‘상록수’, ‘서울로 가는 길’ 등 김민기가 쓴 노래들이 많다.
양희은은 이날 라디오에서 1971년 ‘아침 이슬’을 처음 접하고 충격을 받았던 일화를 소개했다. 양희은은 “미국으로 떠나는 어느 선배 환송 음악회에서 김민기 선생이 만든 ‘아침 이슬’을 어느 분이 부르는 걸 들었다”며 “그 노래에 반해 사람들 사이로 까치발을 들었다 놨다 하며 무대에 집중했다. 한 호흡이라도 놓칠세라 열심히 들었는데 너무도 감동적이어서 콧날이 시큰거릴 정도였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 “간절하게 노래를 부르고 싶다고 했더니 선생 친구분이 ‘민기가 악보에 적는 걸 봤다’고 하셨다. 그 악보는 찢어진 채로 바닥에 버려져 있었고, 악보 조각을 귀한 보물처럼 안고 집에 와 조각을 테이프로 맞췄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서러움 모두 버리고 나 이제 가노라’ 대목을 목청껏 불렀다”고 말했다.
양희은은 “그 노래를 첫 음반 취입(녹음) 때 부르고자 청하니 ‘그래라’ 하며 간단히 허락하셨다. ‘아침 이슬’을 취입할 때 반주도 해주셨다”고 돌아봤다.
이어 “‘아침 이슬’은 당시 정부에서 선정한 건전가요 상도 받았는데 1년 후 금지곡이 됐고 80년대 중반에서야 해금됐다. 선생은 요주의 인물이 돼 힘든 일을 많이 당했을 텐데, 직접 말씀하신 적이 없어 이 정도밖에 전할 수 없다”고 말했다.

고(故) 김민기는 지난 21일 지병이던 위암 증세가 악화하며 세상을 떠났다. 24일 오전 발인이 이뤄졌다.
발인식이 끝난 후 고인의 영정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인근 대학로 아르코꿈밭(옛 학전 자리)으로 이동해 극장 내부와 마당을 둘러봤다. 아르코꿈밭극장은 고인이 33년간 일궈온 ‘학전’이 폐관된 후 새롭게 연 극장이다.
이곳에선 ‘학전 독수리 5형제’로 통하는 배우 장현성·설경구·황정민을 비롯한 학전 출신 연예인들이 고인의 마지막 가는 길을 끝까지 배웅했다. 박학기, 유리상자 박승화, 방은진, 김대명, 배성우 등도 자리를 지켰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