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양안, 언어에서도 ‘대만 독립’ 대충돌 데자뷔

아시아투데이 조회수  

clip20240724142126
양안이 언어 문제에서도 대만의 ‘대만 독립’ 슬로건으로 촉발된 갈등이 무색한 대충돌에 직면해 있다. 이 문제를 주요 뉴스로 보도한 국영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의 보도만 봐도 잘 알 수 있다./CCTV.

양안(兩岸·중국과 대만)이 대만의 방언인 민남어의 공식 명칭을 놓고 마치 ‘대만 독립’ 문제로 대충돌하는 것과 거의 유사한 갈등을 빚고 있다. 대만 집권 민주진보당(민진당)의 당강(黨綱)인 ‘대만 독립’ 구호가 불러온 30여년 가까운 양측 간의 갈등이 이제는 더 한층 업그레이돼 언어 문제에서도 데자뷔가 되고 있다는 얘기가 아닌가 보인다.

대만은 지리적으로 중국의 푸젠(福建)성을 마주보고 있다. 때문에 지역의 방언이 푸젠성 주민들이 사용하는 민남어와 똑 같다. 중국처럼 베이징 일대의 보통화(普通話)가 공용어이기는 해도 상당수 대만인들이 평소에는 민남어를 사용하는 것은 이로 보면 하나 이상할 것이 없다.

대만 정부 역시 민남어가 보통화의 위세에 눌려 사어(死語)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급에 적극 나서고 있다. 양안 관계에 밝은 베이징 소식통들의 24일 전언에 따르면 2010년부터는 매년 8월에 ‘민남어언어능력인증고시’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도 있다. 문제는 올해의 경우 민진당 정부가 이 시험의 명칭을 ‘대만대어(臺語)언어능력인증고시’로 변경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는 사실이 아닌가 싶다.

얼핏 보면 큰 문제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만 독립’이라는 말만 들어도 펄쩍 뛰는 중국의 입장에서는 기분이 무척이나 나쁠 엄청난 대사건이라고 해야 한다. 민남어를 대만대어로 부르는 것 자체가 ‘대만 독립’에 대한 대만의 의지를 반영한다고 본다면 분명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실제 벌써부터 비난의 목소리가 비등하고 있다. 우선 대만 담당 부서인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이 즉각 목소리를 높였다. 24일 오전 열린 정례 브리핑에 나온 주펑롄(朱鳳蓮) 대변인의 입을 통해 “대만 민진당이 정말 코미디 같은 짓을 다시 하려 노력하고 있다. 우리는 그것이 탈중국화를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면서 비난하고 나선 것이다.

환추스바오(環球時報)를 비롯한 관영 언론의 논조는 더욱 공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대만이 이제 주화입마(走火入魔·통제 불가능한 혼수상태)에까지 빠져들고 있다. 바보 같은 짓을 그만 멈춰야 한다”, “대만 주민들도 가소롭게 생각하는 짓을 하는 것이 말이 되는가?”라는 등의 격앙된 반응을 보이면서 대만 민진당 정부를 성토하고 있다.

누리꾼들의 반응은 아예 노골적이라고 해도 좋다. 너 나 할 것 없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미친 개에게는 몽둥이가 약이다”, “끝까지 매를 버는 행동을 하면 중국의 인내심에도 한계가 올 수밖에 없다”는 글들을 올리고는 정부의 단호한 대처를 주장하고 있다.

대만 현지에서도 민남어를 대만대어로 바꾸겠다는 민진당 정부의 계획이 마냥 환영을 받고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1 야당인 국민당은 결사반대를 외치고 있다. 예컨대 차기 총통 후보 1순위로 손꼽히는 장완안(蔣萬安) 타이베이 시장 같은 경우는 “민진당의 헛소리가 대만인들로부터 철저하게 외면을 받고 있다”면서 계획의 당장 중지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대만 민진당 정부가 물러설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아 보인다. 향후 양안의 갈등이 여러 분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폭발하는 것은 이제 현실이 되고 있다고 해도 좋을 듯하다.

아시아투데이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일본 시마네현 20주년 기념 다케시마의 날 개최 독도역사왜곡 부정도 모자라 4월 도쿄영토주권전시관 확대 개관 홍보 ‘이마이 에리카 내각부 정무관 참석’
  • LH 올해 19만호 공급… 3만 7000가구 청년·신혼·고령자
  • 2025 제2회 한국-베트남 피트니스 문화교류 개최
  • ‘제21회 밀양아리랑마라톤대회’서 밀양 관광 등 다양한 홍보 ‘호응’
  • 아트센터 자인 10인 단체전《연하일휘: 안개와 노을과 빛나는 햇살》성료
  • '열애설' 이영자, ♥황동주 언급했다…"일단 더 지켜봐야"

[뉴스] 공감 뉴스

  • 이재명 중도보수 역설…8년전 “중도로 이동시 배신, 비웃음사”
  • “한다고 하긴 하는데” .. 5060 ‘젊은 어르신’, 참담한 현실에 깊어지는 ‘한숨’
  • 행정안전부 측이 폭로한 비상계엄 직전 국무회의 절차: 상상만 해도 엉망진창 그 자체다
  • ['전세사기' 끝나지 않은 재난] ① 갈 길 먼 피해 구제…“엄벌로 사기 고리 끊어야”
  • 사고 당한 고려인 아동, 지역사회 '도움의 손길'
  • 전한길의 ‘초한전 7조’, 핵심 내용 뜯어보니...

당신을 위한 인기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 “전기 밴은 나야 둘이 될 수 없어” 폭스바겐에 도전장 내민 기아 PV5, 승자는?
  • “일본산 지바겐 나온다!”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에 하이브리드 연비까지 갖춘 렉서스 GX
  • “가정 교육을 어떻게 받은 거니” 17세 소년, 흡연하다 무면허 적발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단 200대 한정”.. 다시 부활한 고성능 모델에 전 세계 팬들 ‘들썩’

    차·테크 

  • 2
    "조류독감 불안한데"…달걀, 씻어먹어도 괜찮을까

    여행맛집 

  • 3
    송혜교, 유재석, 임영웅 온갖 스타들 총출동한 곳: 조세호 결혼식 이후 이런 라인업은 첨이다

    연예 

  • 4
    언더커버 하이스쿨 2화, 괴담·학폭·금괴·수사·액션 5종 세트! 모든 떡밥은 던져졌다

    연예 

  • 5
    “디지털 시대 ‘컬러의 일관성’ 핵심 과제로” [테크리포트]

    차·테크 

[뉴스] 인기 뉴스

  • 일본 시마네현 20주년 기념 다케시마의 날 개최 독도역사왜곡 부정도 모자라 4월 도쿄영토주권전시관 확대 개관 홍보 ‘이마이 에리카 내각부 정무관 참석’
  • LH 올해 19만호 공급… 3만 7000가구 청년·신혼·고령자
  • 2025 제2회 한국-베트남 피트니스 문화교류 개최
  • ‘제21회 밀양아리랑마라톤대회’서 밀양 관광 등 다양한 홍보 ‘호응’
  • 아트센터 자인 10인 단체전《연하일휘: 안개와 노을과 빛나는 햇살》성료
  • '열애설' 이영자, ♥황동주 언급했다…"일단 더 지켜봐야"

지금 뜨는 뉴스

  • 1
    전역한 배우들 잇달아 복귀…서강준·강태오, '개그캐'로 연기변신 도전

    연예 

  • 2
    다시 꿈틀대는 K오컬트 '퇴마록', 애니메이션으로 부활 시동

    연예 

  • 3
    왜 먼저 안 쓴 거야? '의문의 선발 제외' 양민혁, 22분 출전에도 키패스 2회...QPR, 포츠머스에 1-2 패배

    스포츠 

  • 4
    N년차 강릉 현지인이 추천 하는 ‘당일치기’ 강릉 여행 코스

    여행맛집 

  • 5
    “여기였어?” 김숙도 세 번이나 사려다 포기했다는 100억대 아파트

    경제 

[뉴스] 추천 뉴스

  • 이재명 중도보수 역설…8년전 “중도로 이동시 배신, 비웃음사”
  • “한다고 하긴 하는데” .. 5060 ‘젊은 어르신’, 참담한 현실에 깊어지는 ‘한숨’
  • 행정안전부 측이 폭로한 비상계엄 직전 국무회의 절차: 상상만 해도 엉망진창 그 자체다
  • ['전세사기' 끝나지 않은 재난] ① 갈 길 먼 피해 구제…“엄벌로 사기 고리 끊어야”
  • 사고 당한 고려인 아동, 지역사회 '도움의 손길'
  • 전한길의 ‘초한전 7조’, 핵심 내용 뜯어보니...

당신을 위한 인기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 “전기 밴은 나야 둘이 될 수 없어” 폭스바겐에 도전장 내민 기아 PV5, 승자는?
  • “일본산 지바겐 나온다!”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에 하이브리드 연비까지 갖춘 렉서스 GX
  • “가정 교육을 어떻게 받은 거니” 17세 소년, 흡연하다 무면허 적발

추천 뉴스

  • 1
    “단 200대 한정”.. 다시 부활한 고성능 모델에 전 세계 팬들 ‘들썩’

    차·테크 

  • 2
    "조류독감 불안한데"…달걀, 씻어먹어도 괜찮을까

    여행맛집 

  • 3
    송혜교, 유재석, 임영웅 온갖 스타들 총출동한 곳: 조세호 결혼식 이후 이런 라인업은 첨이다

    연예 

  • 4
    언더커버 하이스쿨 2화, 괴담·학폭·금괴·수사·액션 5종 세트! 모든 떡밥은 던져졌다

    연예 

  • 5
    “디지털 시대 ‘컬러의 일관성’ 핵심 과제로” [테크리포트]

    차·테크 

지금 뜨는 뉴스

  • 1
    전역한 배우들 잇달아 복귀…서강준·강태오, '개그캐'로 연기변신 도전

    연예 

  • 2
    다시 꿈틀대는 K오컬트 '퇴마록', 애니메이션으로 부활 시동

    연예 

  • 3
    왜 먼저 안 쓴 거야? '의문의 선발 제외' 양민혁, 22분 출전에도 키패스 2회...QPR, 포츠머스에 1-2 패배

    스포츠 

  • 4
    N년차 강릉 현지인이 추천 하는 ‘당일치기’ 강릉 여행 코스

    여행맛집 

  • 5
    “여기였어?” 김숙도 세 번이나 사려다 포기했다는 100억대 아파트

    경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