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일본 화주·물류기업 환적화물 유치 나선 BPA

서울경제 조회수  

일본 화주·물류기업 환적화물 유치 나선 BPA
부산항만공사 전경. 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BPA)는 17일과 19일 일본 삿포로와 아키타에서 현지 지방항만당국과 함께 환적화물 유치를 위한 부산항 설명회를 개최했다.

부산항과 일본 이시카리만신항·아키타항 간 항로 활성화와 부산항에 일본으로 가는 제3국 화물의 환적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인 만큼, BPA는 일본 내 물류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선택지로서 부산항 우수한 정기노선과 저렴한 비용을 중점적으로 설명했다.

현재 일본은 트럭 운전기사에 대한 연간 960시간 초과근무 상한 규제를 시행 중이어서 육상운송 이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요코하마와 고베 등 일본 주요항까지 화물을 트럭으로 운반해 수출입하던 지방 화주들은 늘어난 트럭운송비를 떠안아야 한다.

BPA는 아키타지역 화주가 중국, 북미, 유럽에서 수입하는 화물을 부산항에서 환적한 후 아키타항으로 반입하면, 요코하마 등 주요 항으로 수입한 뒤 아키타까지 트럭 운송하는 것보다 물류비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아키타지역 화주가 중국, 북미, 유럽으로 수출할 때도 부산항에서 환적하면 요코하마 등 일본 주요항을 이용하는 것보다 물류비를 약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는 점도 내세웠다.

BPA는 이러한 장점을 적극 알리고 부산항에 대한 신뢰를 높여 일본 화주들이 장기적으로 부산항을 이용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최근 부산항 물동량은 북미, 동남아 등을 중심으로 상승 추세이나 일본 화물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5월 기준 부산항과 일본항만 간 수출입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8% 하락했고 그간 하락 폭이 적었던 환적화물도 6.1%나 감소했다.

강준석 BPA 사장은 “일본은 전체 수출입화물의 약 10%, 북미지역 수출화물의 20% 이상을 부산항에서 환적하는 중요 시장”이라며 “앞으로 더 자주 일본 지방 화주들을 대상으로 부산항의 우수한 시설과 비용 경쟁력을 적극적으로 알려 환적 물량 증대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투자 구루’ 하워드 마크스 “앞으로 10년, 빌려주는 자산에 투자하라”
  • 전봇대 282개 '확' 뽑아버렸더니 생긴 일…순천에 멸종위기종 '절반' 날아왔다
  • 쿠팡, 12만원대 단독 숙박 특가 선봬… 비발디파크 3~4월 한정
  • 65세로 굴뚝같이 믿었는데 “코앞에 닥쳤다”… 정부 움직임에 ‘깜짝’
  • 빌 게이츠 "가상자산? 전혀 쓸모없어…스스로 속이고 있는 것"
  • [김경철 한국산업관계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집행부 견제할 지방의회 역량 키워야”

[뉴스] 공감 뉴스

  • “제2경인 방음터널보다 우회도로 건설비가 더 적게 들어”
  • '성재 이동휘 선생' 발자취 돌아보다
  • "생활복지·다극체제로 공존과 성장 이끌것"
  • 강릉시, 올 관광객 4000만명 시대 연다
  • 본지, 트럼프 최고 신뢰 언론 워싱턴타임스와 협력 합의
  • [물꼬 튼 송도유원지 개발] (상) 위태로운 명품 주거단지·특화산업 유치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캐스퍼 차주들 오열” 이 차 나오면 무조건 바꾼다 선언!
  • “오토바이 싹 다 난리” 정부, 이제 오토바이 제대로 잡겠다 선언!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낙곱새 사위식당 맛있게 먹는 꿀팁, 여의도역 맛집

    여행맛집 

  • 2
    권태기 극복했다더니… 최정원, ‘반전’ 결혼 생활

    연예 

  • 3
    시한부 선고도 이겨냈는데… '오징어게임2' 이주실, 오늘(2일) 암 투병 중 별세

    연예 

  • 4
    '슈퍼세이브→실점 빌미 제공' 獨 매체의 '충격' 혹평 '또' 시작..."KIM 평점 4~5점, 약했고 흔들렸다"

    스포츠 

  • 5
    주먹의 황제 김두한이 즐겼다던 종로 맛집 베스트3

    여행맛집 

[뉴스] 인기 뉴스

  • ‘투자 구루’ 하워드 마크스 “앞으로 10년, 빌려주는 자산에 투자하라”
  • 전봇대 282개 '확' 뽑아버렸더니 생긴 일…순천에 멸종위기종 '절반' 날아왔다
  • 쿠팡, 12만원대 단독 숙박 특가 선봬… 비발디파크 3~4월 한정
  • 65세로 굴뚝같이 믿었는데 “코앞에 닥쳤다”… 정부 움직임에 ‘깜짝’
  • 빌 게이츠 "가상자산? 전혀 쓸모없어…스스로 속이고 있는 것"
  • [김경철 한국산업관계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집행부 견제할 지방의회 역량 키워야”

지금 뜨는 뉴스

  • 1
    '김하성 밀어냈다가, 김하성에게 밀리더니' 결국 돌고 돌아 유격수로 컴백한다

    스포츠 

  • 2
    ‘이은형♥’ 강재준 붕어빵아들 안타까운 근황, “많이 힘들어 보이네”

    연예 

  • 3
    '동화 우승→813억에 첼시 이적→유리몸 전락' 완전히 잊혀진 DF 결국 떠난다…런던 라이벌이 노린다

    스포츠 

  • 4
    '서밍' 논란 후 KO 펀치 허용→UFC 전 미들급 챔피언 아데산야 또 졌다! '충격의 3연패'

    스포츠 

  • 5
    폭스바겐 ID.4, 수입 전기차 최대 보조금…“3000만원 후반대부터”

    차·테크 

[뉴스] 추천 뉴스

  • “제2경인 방음터널보다 우회도로 건설비가 더 적게 들어”
  • '성재 이동휘 선생' 발자취 돌아보다
  • "생활복지·다극체제로 공존과 성장 이끌것"
  • 강릉시, 올 관광객 4000만명 시대 연다
  • 본지, 트럼프 최고 신뢰 언론 워싱턴타임스와 협력 합의
  • [물꼬 튼 송도유원지 개발] (상) 위태로운 명품 주거단지·특화산업 유치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캐스퍼 차주들 오열” 이 차 나오면 무조건 바꾼다 선언!
  • “오토바이 싹 다 난리” 정부, 이제 오토바이 제대로 잡겠다 선언!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추천 뉴스

  • 1
    낙곱새 사위식당 맛있게 먹는 꿀팁, 여의도역 맛집

    여행맛집 

  • 2
    권태기 극복했다더니… 최정원, ‘반전’ 결혼 생활

    연예 

  • 3
    시한부 선고도 이겨냈는데… '오징어게임2' 이주실, 오늘(2일) 암 투병 중 별세

    연예 

  • 4
    '슈퍼세이브→실점 빌미 제공' 獨 매체의 '충격' 혹평 '또' 시작..."KIM 평점 4~5점, 약했고 흔들렸다"

    스포츠 

  • 5
    주먹의 황제 김두한이 즐겼다던 종로 맛집 베스트3

    여행맛집 

지금 뜨는 뉴스

  • 1
    '김하성 밀어냈다가, 김하성에게 밀리더니' 결국 돌고 돌아 유격수로 컴백한다

    스포츠 

  • 2
    ‘이은형♥’ 강재준 붕어빵아들 안타까운 근황, “많이 힘들어 보이네”

    연예 

  • 3
    '동화 우승→813억에 첼시 이적→유리몸 전락' 완전히 잊혀진 DF 결국 떠난다…런던 라이벌이 노린다

    스포츠 

  • 4
    '서밍' 논란 후 KO 펀치 허용→UFC 전 미들급 챔피언 아데산야 또 졌다! '충격의 3연패'

    스포츠 

  • 5
    폭스바겐 ID.4, 수입 전기차 최대 보조금…“3000만원 후반대부터”

    차·테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