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이 1년 전보다 2.1% 증가한 2경3093조원으로 집계됐다. 1인당 가계순자산은 1.6% 늘어난 2억4427만원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순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동산 자산의 가격이 내리면서 증가 폭이 제한됐다.
한국은행·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민순자산은 2경3039조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2.1%(472조원) 늘었지만 2022년(2.2%), 2021년(11.1%)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작아졌다. 명목 GDP(국내총생산) 대비 국민순자산 배율도 전년(9.4배)보다 줄어든 9.2배로 집계됐다.
국민 자산은 건설·설비·재고·토지자산, 지식재산생산물 등으로 구성된 비금융자산과 예금·현금·주식·대출 등 금융자산으로 구성된다. 국민순자산을 도출할 때는 비금융자산에서 감가상각분을 뺀 금액과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금융자산을 반영한다.
비금융자산은 2경1995조원으로 1년 전보다 442조원(2.1%) 증가했다. 순금융자산은 1045조원으로 30조원(3.0%) 늘었다. 비금융자산에서는 생산자산이 증가(478조8000억원·5.1%)하고, 비생산자산이 감소(36조7000억원·0.3%)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생산자산의 하위항목인 고정자산이 478조8000억(5.1%) 늘면서 증가 폭을 견인했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이 하락으로 비생산자산 하위항목인 토지자산이 38조4000억원(0.3%) 감소하면서 증가 폭이 제한됐다. 2022년(-128조7000억원)에 이어 2년 연속 감소다.
특히 토지자산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물부속토지가 105조6000억원 줄면서 감소 폭이 컸다. 건물부속토지는 주거용과 비주거용으로 나뉘는데, 주거용이 242조4000억원 하락하면서 전체 수치를 끌어내렸다. 반면 비주거용은 136조9000억원 증가했다.
국민순자산의 증감요인을 뜯어보면 거래요인(자산 순취득 등) 중에서는 비금융자산 순취득이 228조원, 금융자산 순취득이 47조원을 차지했다. 거래외 요인(간척·자산가격 변동 등) 중에서는 간척·용도변경 등으로 인한 자산변동인 ‘자산량기타증감’이 141조1000억원, 자산가격 변동으로 인한 ‘명목보유손익’이 72조8000억원을 차지했다.
부문별로 보면 가계·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순자산이 1경2632조원으로 전체 국민순자산의 54.8%를 차지했다. 일반정부가 5674조4000억원(24.6%)으로 뒤를 이었고, 비금융법인이 4191조7000억원(18.2%), 금융법인이 541조5000억원(2.4%) 등이었다.
증가 폭 기준으로는 일반정부의 순자산이 전년대비 272조2000억원 늘면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 기계·비영리단체는 210조4000억원 늘면서 2022년 감소(-180조원)에서 지난해 증가로 전환됐다. 금융법인은 80조1000억원 증가했고, 비금융법인은 90조3000억원 감소했다.
1인당 가계순자산은 2억4427만원으로 추정됐다. 전년(2억4039만원)대비 1.6%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원·달러 시장환율(1306원)로 환산한 1인당 가계순자산은 18만7000달러다. 미국(46만5000달러), 호주(39만3000달러)보다 낮고 일본(18만3000달러)보다 높다. 가계순자산은 가계·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을 추계인구 약 5171만명으로 나눠 산출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