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이 22대 총선을 참패한 뒤 제대로 된 반성을 내놓지 못하는 가운데 중앙일보가 오세훈 서울시장을 주목했다. 중앙일보는 20일 인터뷰에서 “오 시장의 역할을 기대하는 시선이 늘었다”고 물었고 대선 출마에 대한 생각도 물었다. 이번 총선 패배로 윤석열 대통령에게 레임덕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차기 대권주자로 시선이 옮겨가는 모양새다. 오 시장은 인터뷰에서 차기 대선 출마를 암시했다.
정부가 내년 의과대학 정원 증원 규모를 자율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2000명이던 증원 규모가 1000~1700명대로 축소될 전망이다. 2026년부터는 대학에 자율권을 더 줄 수 있는 이야기도 나오고, 의료개혁특위도 다음주에 출범한다. 20일 신문에서는 정부의 대응이 다소 늦어 의료계와 갈등이 해소될지 의문을 제기했다.
중앙일보 “대선보다 서울시장 5선에 관심있다고 했는데”
총선 참패로 여당의 리더십 공백이 생겼다. 보수언론은 한목소리로 총선 패배 원인이 윤 대통령 (혹은 윤 대통령 부부)에게 있다고 진단하고 있고, 대표적 친윤계 인사로 분류되는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여당을 살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당 내부에선 전당대회 일정조차 정하지 못한 가운데 중앙일보가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힘을 싣는 인터뷰를 내보냈다.
중앙일보는 20일 <“누구라도 할말하는 분위기 만들어야, 그게 상급자 역할”>이란 인터뷰 기사에서 “4·10 총선에서 그가 속한 국민의힘이 참패한 이후에 그에게 총선 민의를 묻지 않을 수 없었고 결국 총선 전후로 두차례 만났다”며 “평소 정치적 발언을 삼가던 그가 16일엔 큰 걱정을 내보였다”고 했다.
인터뷰를 보면 오 시장은 윤 대통령을 향해 “여러 일로 지지층을 축소했다”, “정책 전달력이 약했다”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에 대해 다양한 부분을 비판했다. 오 시장은 “그분(윤 대통령)의 리더십 스타일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는 게 어떤 참모라도 하고 싶은 말을 부담없이 할 수 있는 분위기는 꼭 필요하다”며 “많이 알려진 게 앞에 가면 얼어붙는다고 하지 않나”라고 윤 대통령의 리더십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한동훈 위원장에 대해서도 평가했다. 오 시장은 “정권 심판론은 당연히 등장하는 과거지향적 프레임인데 586 심판론으로 맞불을 놓음으로써 스스로 그 프레임으로 들어갔다. 전략의 부재”라며 “집권 세력은 미래를 얘기하는 게 맞다. 약자동행도 얘기했으면 했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가 발전하면 뭐하냐, 나한테 오는 혜택이 없는데’라는 국민이 많다”며 “이들에게도 집권당으로서 메시지를 분명히 줘야 했는데 선명하게 전달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중앙일보는 “오 시장의 역할을 기대하는 시선이 늘었다”고 물었고 오 시장은 “저 역시 책임 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비판만 할 수 없다”며 “일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이는 게 시민에 대한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다 인터뷰 끝에서 “대선보다 서울시장 5선에 관심 있다고 한 적 있는데 지금은 어떤가”라고 물었고 오 시장은 “반반이다”라며 “선출직은 국민의 부름에 늘 응해야 하지만 지금은 일에 깊이 빠져있다”고 답했다. 이어 “오세훈 때문에 서울이 살만한 곳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싶다. 실제로 한강 르네상스로 만든 산책길이나 산자락에 만든 둘레길이 없었으면 코로나 때 어쩔 뻔했나”라며 “일을 잘하면 다음 스케줄은 부수적으로 따라올 거다”라고 했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청계천 사업과 버스 중앙차로 사업 등을 성과로 대선에 출마했던 것처럼 오 시장 역시 한강 르네상스와 둘레길 등을 기반으로 대선에 도전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정부-의료계 갈등 해결될까
조선일보는 사설 <정부 의대 정원 타협안, 만시지탄이나 사태 해결 계기 돼야>에서 “정부가 한발 물러선 만큼 의료계도 한발 물러서서 사태를 끝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정부 제안에 대해 실효성 문제도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의료 대란 초기였다면 의료계는 이번 정부 타협안을 놓고 정부와 협상했을 것”이라며 “하지만 선거에 참패해 국정 동력이 무너진 뒤에 타협안을 내니 효과가 떨어지는 듯한 느낌”이라고 했다. 이어 “시기를 놓친 것은 김건희 여사 명품 가방 사건, 해병대원 순직 사건 수사 문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문제, ‘회칼 테러’ 발언 수석 문제 등도 마찬가지”라며 “이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한겨레는 사설 <2천명서 한발 물러선 정부, 이제 본격 협의로 의-정 갈등 풀어야>에서 “정부가 ‘과감한 결단’이라고 의미를 부여한 데 견줘, 이번 수정안이 의정갈등을 풀 수 있는 타개책이 되기엔 역부족”이라며 “외려 정부가 ‘각 대학의 교육 여건을 고려해’ 입장을 바꾼다는 것은 기존 정부 정책을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라며 공세를 폈다”고 했다.
한겨레는 “정부가 본격적인 협의를 시작하려면 좀더 진정성 있는 자세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며 “일단 급한대로 2025학년도 증원 규모는 줄이고 2026학년도는 2000명을 유지하겠다는 것도 명분을 쌓기 위한 것일 뿐, 현실적인 협상안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