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17장에 보면 “태상(太上)은 하지유지(下知有之)하고, 기차(其次)는 친이예지(親而譽之)하고, 기차(其次)는 외지(畏之)하고, 기차(其次)는 모지(侮之)라”라는 말이 있다. 지도자를 백성(百姓), 지금 시대로 말하면 국민(國民)의 입장에서 평가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구절이다.
가장 훌륭한 지도자는?
태상(太上)은 하지유지(下知有之)하고! 태상(太上)이란 가장 높은 지위란 뜻인데 문맥으로 보면 가장 훌륭한 지도자쯤이 되겠다. 세상을 다스리는 지도자 중 가장 훌륭한 지도자는 그가 있는지 없는지조차도 백성이 잘 모른다는 얘기다. 세상은 태평성대(太平聖代)요, 생활은 넉넉하여 근심이 없으니 구태여 다스리는 자가 누군지 관심조차 없다는 것이다. 지도자도 시시콜콜 세상사에 관여하지 않는다. 세상이 저절로 질서 잡혀 돌아가기 때문이다. 혹 조금 삐꺼덕대고 어긋난다고 할지라도 무리하게 억지로 바로잡으려 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다툼이나 시비가 일지 않는다. 위무위즉무불치(爲無爲則無不治), 무위로써 하면 다스려지지 않는 것이 없다는 말이다.
기차(其次)는 친이예지(親而譽之)하고! 다음으로 쳐 줄 수 있는 지도자는 백성의 존경을 한 몸에 받는 사람이다. 백성은 그를 가까이하려 하고 받들어 준다. 그의 치적을 칭송하고 감사한다. 지도자를 잘 뽑아 나라가 편안해졌다고들 한다. 그가 한 일들이 좋은 결과를 가져왔다고는 하나 시비와 다툼의 소지를 가진 것들도 있다. 아무리 유능하고 훌륭한 지도자라 할지라도 100가지를 다 잘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개중 몇 가지라도 백성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 있다면 누구는 불평할 것이며, 상황에 따라서는 분쟁을 불러올 수도 있다.
기차(其次)는 외지(畏之)하고! 이보다 못한 지도자는 아랫사람이 두려워하게 만드는 사람이다. 두려워서 고개를 조아리고 복종할 수밖에 없다. 자기 권위에 도전하는 사람은 누구라도 응징한다. 그렇지 않으면 세상을 통치하기 어렵다. 심복이라 할지라도 눈 밖에 나면 살아남기 어렵다. 하지만 아직 지도자의 카리스마는 남아있다. 그래서 주변에는 그나마 충성하는 자들이 존재한다.
기차(其次)는 모지(侮之)라! 마지막으로 제일 하급의 지도자는 백성에게 경멸당하는 자다. 백성이 경멸하는 이유는 그가 무도하고 거짓되기 때문이다. 백성을 사랑하지도 나라를 위하지도 않는다. 그 속에는 다만 권력욕만 불타고 있을 뿐이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어떻게 해서든 권력을 쥐어야 한다. 권력을 쥐고 나서는 그 권력을 빼앗길까 조바심을 낸다. 측근도 믿지 못하고 늘 의심의 눈초리로 본다. 자신의 권력 유지를 위해서는 나라와 백성을 팔아먹는 짓도 서슴지 않는다.
우리나라 근 현대사를 통하여 지도자라는 사람들을 평가해 본다면 어떤 답이 나올까? 우리나라 역사 전체를 통틀어 태상(太上)에 해당하는 지도자가 있을까? 전설 속의 성군인 단군왕검이나 세종대왕쯤이 그에 속할까? 백성이 가까이 여겨 진심으로 받든 지도자도 손에 꼽을 듯하다.
해방 이후 역대 대통령을 평가한다면 어떨까? 친이예지(親而譽之)에 해당하는 지도자는 몇이나 될까? 외지(畏之)나 모지(侮之)한 지도자만 만났다면 우리는 참으로 불행한 세월을 살았다고 할 것이다.
4.10 총선에 대한 국민의 선택은?
이번 4.10 총선에서 야권에 189석이라는 압승을 안겨준 국민의 선택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근현대사 속에서 우리 국민은 독재정권에 대항하며 많은 피를 흘렸다. 그러면서 4.19, 5.18, 6.10, 촛불혁명을 통해 독재와 파쇼 정권을 무너뜨렸다. 하지만 그 결과가 외세와 정치권에 의해 도로아미타불되는 경험을 반복해 왔다. 이런 경험을 통해 얻은 지혜의 축적이 이번 표심으로 나타난 것은 아닐까?
촛불혁명을 이루며 우리 국민이 가진 바람은 근현대사의 질고(疾苦)가 되었던 외세의 간섭을 물리치고 자주와 통일을 향해 가는 민주 정부의 완성이었을 것이다. 그 바람의 결과가 지난 문재인 정부의 탄생과 180석의 민주당 압승이었다. 그러나 5년 뒤의 결과는 0.73% 차이의 대선 패배였다. 나는 이 결과가 선진국 진입이라는 성과에도 불구하고 검찰개혁 하나 이뤄내지 못한 나약한 정부 여당에 대한 국민의 분명한 의사표현이었다고 생각한다.
선거에 뛰어들게 된 이유
2020년 11월에 나는 내 인생에 중요한 결심을 하게 된다. 그것은 43년 동안 해왔던 시민운동의 자리를 내놓고 대선 과정에 참여해야겠다는 것이다. 1977년 감리교청년회 운동을 시작한 이래 나는 목사로서 풀뿌리 시민운동을 지속해 왔다. 지역시민운동 과정에서 선거 때마다 유권자운동본부 등을 구성하여 17차례 선거 감시, 정책 제안, 낙천 혹은 좋은 후보 지지 운동을 해왔다.
하지만 지난 대선은 우리 사회 미래의 최대 갈림길이 될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직접 선거에 뛰어들게 되었다. 특히 이낙연 씨를 둘러싼 세력들의 행태를 보며 우리 미래에 대한 걱정이 컸다. 그래서 옛동지들을 규합하여 15개월간의 대선 대장정에 참여했다. 그리고 윤석열 정권 2년 동안 무너져 가는 이 나라를 구하기 위한 이번 총선에도 관여했다. 지역의 동지들과 함께 일선에서 활동한 것이다. 대선과 총선을 치르면서 나는 밖에서는 보지 못했던 정치권 내부를 들여다보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총선 승리의 요인
이런 과정을 통해 이번 총선이 주는 의미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먼저 야당 총선 승리의 요인을 살펴보자.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국민이 전 세계가 칭송할 만한 민주시민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총선은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정신을 잘 보여 준 일대 쾌거라 할 수 있다.
총선을 서너 달 앞두고 윤 정부가 일종의 6.29 또는 10.26 사태를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이런 우려는 현실로 나타났다. 2024년판 6.29 전략은 한동훈을 앞세워 5공화국 말기의 노태우 6.29 선언처럼 반전을 일으켜 총선에서 승리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10.26 사태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 탄압으로 비교될 수 있었다. 만일 이재명 대표가 법정 구속되었다면 야권은 아수라장이 되었을 것이고 총선 역시 승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언론의 기울어진 운동장도 한몫할 것으로 보였으나 민주시민의 역량은 참과 거짓을 구별할 수 있었다.
또 하나의 우려는 북풍 공작이었다. 간첩 조작 또는 북한과의 국지전 등 전쟁의 위협으로 총선을 치르려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하지만 한반도 전쟁 위기를 키웠을 3월 한미연합훈련은 사상 유례없이 조용히 치러졌고, 덕분에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총선 막판까지 계속된 촛불대행진도 윤석열 정권 심판의 열기를 끌어 올렸고, 이재명 대표의 선거연합 결단도 총선 승리의 계기가 되었다.
총선 이후, 무엇을 해야 할까?
총선 압승 이후 더 나은 사회로 가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 아마도 우리 국민이 바라는 바는 헌법개정을 통한 제7공화국의 탄생일 것이다. 이를 통해 적폐 청산과 민생 회복, 평화통일을 향한 여정이 시작되길 바란다. 이를 위해 해야 할 일을 정리해 본다.
첫 번째는 정치권의 대오각성이다. 이번 총선 결과를 두고 윤석열 탄핵과 헌법개정을 위해 야권 200석 이상을 기대했던 국민 가운데는 ‘대승이라는데 뭔가 찜찜하다’는 반응이 있다. 하지만 나는 이야말로 우리 국민의 절묘한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촛불혁명으로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하고 문재인 정부를 세웠는데도 별 성과 없이 윤석열 정부의 탄생을 지켜본 국민은 어떤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 아마도 국민이 이룬 성과를 정치인에게 몽땅 양도해서는 안 된다는 깨달음이었을 것이다. 야권에 189석을 준 것은 탄핵과 헌법개정 역시 국민의 지지를 받지 않고는 할 수 없으니 국민의 명령을 따르라는 경고인 셈이다. 그러니 정치인들은 권력자가 아닌 국민의 의사를 대변하는 도구임을 명심해야 한다.
두 번째, 22대 국회에서는 국회의원들부터 특권을 내려놓아야 한다. 그러고 나서 행정부와 사법부 등 타 분야 특권도 폐지하는 입법을 해야 한다. 4년 임기 동안 의원 1인당 50억 원 이상의 혈세가 지원된다는데, 그 경비를 대폭 줄여 의원 정수를 늘려야 한다. 현재의 국회의원 예산 범위 내에서 지역구의원 300명, 비례대표 300명으로 증원하면 좋겠다.
세 번째로 헌법개정을 통해 제왕적 대통령제를 폐기하고 국민이 직접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국민발안권, 국민소환권, 주요 정책에 대한 국민투표권, 주민자치 기본권 등 헌법개정과 마을 기금 법제화 등 주민자치법 개정, 시민의회법 제정 등을 해야 한다.
네 번째로 선거법을 개정하여 지역정당을 허용하고, 지역 주민의 의사가 반영되는 민주적 공천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지역위원장의 사천 등 공천 과정에서의 횡포를 완전히 막아야 한다.
특히 특정 정치인이나 정치세력에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자주, 민주, 통일이라는 국가 과제를 헌법정신 속에 못 박아야 한다. 그리하여 과거 청산을 통한 새 시대를 만들어 가야 한다. 이번 총선 이후, 권력을 사유화하고, 헌법을 무시하는 정치인과 정치세력이 다시는 발호할 수 없도록 촛불 국민은 계속 행동에 나설 것이다. 다음 대선에서는 국민이 대통령이 누구인지 관심 갖지 않아도 살기 좋은 세상이 되는 최상의 지도자가 뽑히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