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은 탈진할 정도로 돌아다니는데
정작 지원받는 지역 후보 일정은 널널?
스펙 딸리는 자에 밀린다며 화만 잔뜩
‘선거력’ 떨어지는 후보들 ‘추풍낙엽’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2년간의 ‘통치’를 심판하겠다는 거센 역풍 속에서 치러진 총선이었지만, 집권여당이 겨우 100석을 살짝 넘기는 108석의 성적표를 받아든 것은 충격이다. 서울은 48석 중에서 4분의 1에 못 미치는 11석에 그쳤으며, 인천·경기에서는 최악의 참패를 당했다. 인천은 14석 중에 2석, 경기는 60석 중에 6석을 얻는데 그쳤다. 대전·세종·충남북은 28석 중에 6석을 건졌다.
여야 양당의 ‘텃밭’ 의석을 비교해보면 영남은 65석, 호남은 제주(3석)를 합치더라도 31석에 불과하다. ‘텃밭’ 의석 자체가 두 배 이상 차이 나는데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에서 총 161석, 국민의힘은 90석을 얻었다. 아무리 역풍이라 해도 후보의 개인기로 극복되는 몫이 있을텐데 참담한 결과다. 국민의힘 후보들의 ‘선거력’이 떨어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총선 D-3이었던 지난 7일,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충청권을 좌우로 횡단하는 강행군을 펼쳤다. 대전에서 시작해 충남의 서남쪽 끝인 서천까지 갔다가, 다시 동진해 천안을 거쳐 청주에서 끝맺는 일정이었다. 하루 공식 유세 일정은 열 차례에 달했다.
이날 한 위원장이 ‘지원’을 한 국민의힘 A 후보의 한 위원장과의 지원 유세 일정은 놀랍게도 그 후보의 그날 두 번째 일정이자 마지막 일정이었다. 본투표 전 마지막 일요일이라는 게 믿겨지지 않을 지경이었다. 한 위원장은 이런 식의 강행군을 계속하다가 9일 청계광장에서의 피날레 유세 이후 탈진했다. 아마 자신이 이렇게까지 탈진해가면서 지원했던 지역구 후보들의 여유로운 일정을 들었더라면 쓰러지면서 뒷목도 잡았을 것이다.
국민의힘 충청권 B 후보는 여론조사상 열세인데도 동행취재를 사양했다. 이기고 있는 후보가 ‘부자 몸조심’ 차원에서, 그리고 상대 후보에게 동일한 기회를 주지 않기 위해 동행취재를 사양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지만, 지고 있는 후보가 사양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의아해서 알아보니 B 후보는 하루종일 공개 일정이 전혀 없었다. 선거사무소에 있는 후보 내실에 틀어박혀 도의원·시의원들이 데려오는 사람들을 만나고 지지 선언을 받는 게 일과의 전부였다. 그러면서도 “분위기가 좋다”고 자신했다. 정작 르포를 뛰어보면 시장통에서는 “선거 기간인데 후보가 얼굴도 보이지 않는다”고 국민의힘 지지자들이 발을 동동 구를 지경이었다.
수도권 접전 지역구 C 후보는 출마한 지역구에서 여론조사가 도는 것도 몰랐다. 상대 민주당 후보는 이미 전날부터 여론조사가 돌 것이라는 파악하고, 아침에 전화가 걸려올 국번까지 특정해 “전화가 걸려오면 꼭 받아서 지지해달라”고 호소 문자까지 돌려놓은 상태였다.
이틀 동안 도는 여론조사의 첫날 저녁이 돼서야 C 후보는 비로소 여론조사가 돌고 있다는 것을 파악했지만, 과연 대책이 세워졌는지 의문이다. 하루종일 선거사무소로 “여론조사 돌고 있던데요”라고 알려줄 조직조차 없다면 설령 뒤늦게 알았다 한들 무슨 경로를 통해 대응책을 전파했겠는가.
여론조사는 선거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다. 특히 우세 후보로의 ‘밴드왜건 효과’가 가장 치명적이다. 선거 기간 내내 보수층 일각에서는 여론조사에 ‘진보 과표집 현상’이 있다고 했지만, 선거 현장을 들여다보면 여야 양당 지역구 후보의 여론조사 대응 조직력의 차이가 컸다.
국민의힘 D 후보는 선거운동기간 내내 화가 잔뜩 나 있었다. D 후보는 지역구 상대 민주당 후보의 이력을 열거하며 “이 사람은 지역위원장 말고는 직업이 없다. 지역위원장이 어떻게 직업일 수가 있느냐”라고 분을 참지 못했다.
민주당 후보는 국번 찍어 문자 돌리는데
국민의힘 후보는 당일 저녁에야 파악…
여론조사 밀리는데도 동행취재 사양,
하루종일 내실서 찾아오는 사람만 만나
선거는 스펙이 훌륭한 사람이 저절로 뽑히는 게 아니다. 자유당·공화당 시절에조차 그런 일은 없었다.
김종인 개혁신당 전 공천관리위원장의 조부인 가인 김병로 선생은 1960년 총선 때 전북 순창에 출마했다. 가인 선생은 1888년생으로 일제 시대 때 이미 조선을 대표하는 변호사였다. 대한민국이 건국되면서 초대 대법원장을 지냈다.
상대 후보인 홍영기 민주당 후보는 서른 살이나 아래인 1918년생이었으니 당시 문화로는 가인 선생의 상대로는 그야말로 구상유취했다. 게다가 홍 후보는 해방 이후 급히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군법무관으로 임관했다가 1954년 예편하며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 가인 선생은 유권자가 두 후보를 비교해보면 알아서 자신에게 표를 줄 것으로 생각하고 유세도 하지 않았다.
반면 홍영기 후보는 이미 전북 순창에서 1954년·1958년 두 차례 낙선했던 터였다. 1960년 총선에 임하는 두 후보의 자세는 절박함에서부터 달랐다. 결국 홍 후보가 6.95%p 차로 승리했다.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힘 몇몇 후보들의 ‘선거력’ 떨어지는 모습을 보면, 혹시 초대 대법원장을 능가하는 스펙이라도 가지고 있어 저런 배짱으로 선거를 치르는가 의아하기 짝이 없었다.
열거한 사례가 전부는 아닐테고, 국민의힘에서도 정말 열심히 죽도록 선거를 뛰었으나 낙선의 고배를 마신 후보들이 더 많을 것이다. 하지만 국민의힘에서 유독 ‘선거력’ 떨어지는 후보들의 모습이 눈에 많이 띈 것은 사실이다.
“내가 검사장은 먼저 달았는데 누구는 벌써 국회의원” “내 동기 중에서 벌써 국회의원이 몇 명” 이런 발상으로 ‘사회적으로 성공한 분들’ 사이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이제 나도 국회의원 좀 돼야겠다’는 생각으로 도전하는 후보는 임명직과 달리 선출직이 되기 위해서는 ‘선거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역시 ‘사회적으로 성공한 분들’이 공천관리위원회에 포진해 스펙만 보고 “참 훌륭한 후보”라고 공천을 줘서는 구조적으로 ‘선거력’이 떨어지는 후보들이 배출될 수밖에 없고, 사생결단으로 선거를 치르는 정당의 후보를 이기기가 앞으로도 쉽지 않을 것이다.
“정치는 곧 선거다.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선거라는 것이 정치에서는 가장 중요하다”는 말은 국민의힘 전직 5선 의원의 명언이다. 아무리 올바른 정론을 갖고 있더라도 원내 다수 의석을 차지하지 못하면 입법으로 현실화할 방법이 없고, 아무리 훌륭한 역량을 갖고 있더라도 당선되지 못하면 ‘일개 원외’일 뿐이다.
앞으로 2년여 정도는 큰 선거가 없지만 2026년 6월의 지방선거부터 이듬해 3월 대선까지는 그야말로 ‘정치의 계절’이자 ‘선거의 계절’이 펼쳐진다. 국민의힘은 그 때에도 유권자들에게 “잘못하면 나라가 망한다”고 호소하겠지만 일선 후보들의 ‘선거력’이 뒷받침되지 못하면 만사휴의다. 앞으로 2년간 ‘선거에서 이기는 정당’으로 환골탈태하기 위한 국민의힘의 노력이 주목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