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원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교수의 해양동물학연구실 연구팀이 한국 바다거북의 유전자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서태평양의 바다거북 유전자 구성 지도를 새롭게 그렸다.
26일 인하대에 따르면 세계에는 7종의 바다거북이 살고 있으며, 대부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 목록(Red List)에 지정된 멸종위기종 또는 취약종이다. 이중 우리나라 바다에는 5종의 바다거북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어느 곳에서 기원했는지에 대한 정보는 알려진 바 없다. 바다거북이 어디에서 기원했는지는 바다거북 보전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다.
김태원 교수 연구팀은 바다거북의 기원을 확인하고자 장숙진 인하대학교 BK21 정밀의학·스마트공학 융합연구단 박사(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속), 김병엽 제주대학교 교수, 미국의 조지 발라즈(George Balazs) 박사, 일본의 니시자와 히데아키 교수 등이 함께 국제 연구팀을 구성했다.
국제 연구팀은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특별연구프로젝트 지원을 받아 2013~2022년 제주도에서 혼획·좌초된 푸른바다거북, 붉은바다거북, 매부리바다거북, 올리브바다거북, 장수바다거북 등 31마리로부터 유전자 샘플을 얻어 모계 유전하는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타입(haplotype·부모의 한쪽으로부터 물려받아 함께 유전하는 한 묶음의 유전자 집합)의 혼계 분석법(mixed stock analysis)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제주도의 푸른바다거북은 상당수 일본 열도의 산란지에서 기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붉은바다거북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국제 연구팀이 추가로 분석한 위성추적자료에서도 제주도를 떠난 바다거북이 일본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관찰되지만 제주도에서 위성으로 추적한 푸른바다거북의 60%는 그대로 서식지에 머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태원 교수는 “국내 바다거북의 상당수는 일본에서 기원했지만 제주 앞바다까지 먹이를 구하러 왔다가 해당 지역의 따뜻한 기후에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며 “지구온난화 현상의 하나로 보이며 앞으로 더 많은 바다거북의 북상이 예상되는 만큼 보전하기 위한 세계적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해양학 분야 저명 학술지인 ‘프론티어즈 인 마린사이언스(Frontiers in Marine Science)’ 2024년 특별호에 게재됐다.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