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평균 2% 정도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려면 2032년까지 89만4000명의 노동력이 부족한 것으로 추정됐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한국의 인구구조상 공급할 수 있는 인력이 적어지므로 89만4000명을 추가로 구해와야 2% 정도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는 셈이다. IT 업종 등 연구직도 7만8000명 부족하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032년까지 우리 노동시장 공급(경제활동인구)과 수요(취업자), 앞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추가로 필요한 인력을 처음으로 분석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19일 발표했다.
◇생산가능인구는 2018년부터 감소 시작…2032년 10명 중 3명은 노인
고용정보원에 따르면 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 인구 중 노동을 제공할 의사와 인력이 있는 사람)은 2022년부터 2032년까지 31만6000명 증가한다. 2027년까지는 증가하지만, 2028년부터 감소로 돌아선다. 고용정보원은 고령층 비중이 높아지면서 노동 공급을 제약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2년부터 2032년까지 취업자 수는 30만9000명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2027년까지는 증가하지만, 2028년부터는 노동력 공급이 부족해져 감소로 전환한다.
생산가능인구(15세 이상 65세 이하)는 2018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노인들이 은퇴하지 않고 노동시장에 남아 있으면서 2027년까지는 경제활동인구와 취업자가 늘어날 수 있지만, 저출산이 심해지며 청년 인구가 줄어 2028년부터 감소로 돌아선다는 분석이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22년에는 전체 인구의 19.9%지만 2032년에는 3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활동참가율은 여성과 베이비부모 세대 노동시장 참여가 늘면서 2025년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70세 이상 인구가 늘면서 2026년부터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IT·공학 전문가도 8만8000명 부족…추가로 필요한 노동력의 10%
장기 경제성장 전망치(1.9~2.1%)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추가 인력은 89만4000명으로 추산됐다. 공급 가능한 경제활동인구보다 89만4000명이 더 있어야 연 2% 수준으로 경제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셈이다. 경제활동인구가 소폭이지만 증가하는 2027년까지는 7만1000명 부족하지만, 그 이후 추가로 필요한 인력이 급증한다. 올해 2월 경제활동인구는 2895만7000명이다. 8년 뒤 부족할 것으로 추산된 89만4000명은 3.1% 수준에 달한다.
2032년 추가 필요인력의 76.6%가 서비스업(68만5000명)이다. 산업별로는 보건복지서비스업(13만8000명)이 가장 많고, 이어 제조업(13만7000명), 도소매업(11만8000명) 순이다. 숙박음식, 음수창고, 사업시설관리업도 각각 5만명 수준으로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 농림어업은 4만5000명, 건설업은 1만8000명 부족하다.
공학 전문가와 정보통신(IT) 전문가 비중이 높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도 8만8000명 부족한 것으로 추산됐다. 전체 부족한 인력의 10%는 부가가치가 높은 공학과 IT 분야가 차지하는 셈이다.
고용정보원은 노동력 부족에 대응해 앞으로 인력 수요가 감소할 중·저숙련 직종 근로자가 재취업할 수 있도록 업종 전환 훈련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또 기술 진보로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과학 업종 인력 양성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청년이 신산업 분야에 취업할 수 있도록 첨단 산업 훈련과 일경험 지원을 해야 한다고 했다. 또 여성이 출산·육아로 경력이 단절되지 않도록 육아휴직을 확대하고, 유연근무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고령자가 원하는 만큼 더 오래 일할 수 있도록 임금체계를 개편해 계속고용 기반을 조성하고, 직무전환 훈련으로 이직과 전직을 지원해야 한다고도 했다.
김영중 고용정보원장은 “앞으로 공급 제약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에 따라 기업 구인난이 심화될 것”이라며 “우리 사회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