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목월(1915~1978) 시인의 미발표 시 290편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의 반응이 재미있다.
박 시인 장남인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와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이하 위원회)가 12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박 시인의 미발표 시를 공개했다.
위원회는 12일 박 시인의 장남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국문학)가 자택에 소장한 노트 62권과 경북 경주시 동리목월문학관이 보관 중인 18권의 노트에서 박 시인의 미발표 육필 시가 다량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들 작품은 박 시인이 1930년대 후반부터 말년인 1970년대까지 쓴 총 318편이다. 기존에 발표된 시들을 제외하면 총 290편이다.
위원회는 이들 작품 중 문학적 완성도가 높고 주제가 다양하며 창작의 변화 과정이 잘 드러난 작품 166편을 선별해 공개했다.
시기별로는 1936년, 1939년도로 창작 연도가 표기된 작품들을 포함해 1950년대의 제주를 소재로 한 시들, 1960년대 사람들의 일상적 삶을 노래한 작품, 역사적 격동기였던 해방과 한국전쟁 등에 관해 시인이 작고 직전인 1970년대에 창작한 시편들이 포함됐다.
위원회 위원인 우정권 단국대 교수에 따르면 시인의 작품은 1936년과 1939년엔 동시적 운율과 리듬을 지녔다. 1950년대 후반에는 슬픔과 상실의 정서가 흐르고, 1960년대엔 일상적 삶과 가족의 사랑을 노래했다. 1970년대엔 한국전쟁, 해방, 조국, 근대 희망 등을 노래했다. 작품의 주제는 생활과 일상, 기독교 신앙, 가족과 어머니, 사랑, 제주와 경주, 동심, 시인의 삶 등이다. 작품의 흐름이 시대의 흐름과 시인의 고민을 반영해 문학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위원회는 “시의 산문적 형식, 역사적 격변기인 해방과 전쟁, 종군문인단 활동, 조국과 미래를 위한 희망, 내면적 슬픔과 상실의 실체 등이 이번 발굴된 작품에 나타난 박목월 문학의 새로움이었다”고 설명했다.
위원회엔 우정권 단국대 교수, 방민호 서울대 교수, 박덕규 단국대 명예교수, 유성호 한양대 교수, 전소영 홍익대 초빙교수 등 여러 국문학자가 참여했다.
위원들은 “박목월 시를 현대 미디어와 접목해 시문학의 대중화를 이루겠다”면서 “육필 시의 원본성이 훼손되지 않고 문화유산으로서 후대에까지 널리 보존되는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시인은 한국 시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다. 조지훈·박두진 시인과 함께 해방 직후 시집 ‘청록집’을 펴내 청록파 시인으로 불린다. ‘나그네’, ‘청노루’, ‘이별가’, ‘윤사월’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
누리꾼들 반응이 흥미롭다. “국문학계에 논문용 먹거리가 풍성하게 제공됐다. 부럽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이 ‘왕건이’를 건졌다”, “수능용 새로운 지문 문학작품 대거 획득” “올해 수능이랑 공무원시험에 박목월 꼭 나오겠네. 역사에서도 새로운 유물이 발견되면 시험에 나올 확률이 확 뛰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웃고 있다”, “고등학생들이 빡치겠다” 등의 반응이 나온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