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어제 이어 조문객 맞아…YS ‘꼬마 동지’ 이규희씨도 문상
이홍구·정세균·이재오·손학규·유인촌·장기표 등도 조문행렬 동참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전날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김영삼 전 대통령 부인 손명순 여사 빈소에서 조문객이 조문하고 있다. 2024.3.8 [공동취재] ksm7976@yna.co.kr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홍준석 기자 = 김영삼(YS) 전 대통령의 부인 고(故) 손명순 여사의 빈소에 9일 정치인들의 조문이 이틀째 이어졌다.
손 여사가 지난 7일 오후 별세한 뒤 유족들은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빈소를 차리고 전날 오전부터 조문을 받고 있다.
이날 오전 빈소를 찾은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김 여사는 김영삼 대통령을 아주 젊은 시절에 만나서 민주화와 문민정부 국가 운영에 배우자이자 동지로서 큰 역할을 해오신 분”이라면서 고인을 기렸다.
이어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이 조문한 뒤 접객실에 10여분간 머물렀다. 하 의원은 “김 전 대통령과 은퇴하고 가깝게 지냈다. 북한 문제에 관심이 많아서, 내부 사정과 정보, 동향을 알려드렸다. 그때 상도동을 자주 가고 사모님도 자주 뵀다”고 떠올렸다.
하 의원은 이어 “공과가 있지만, 우리가 평화적으로 정권교체를 하고 또 압축적으로 민주주의를 실현한 결정적 이유가 YS”라며 “손 여사께서 그 뒤를 늘 든든히 지켜줬기 때문에 그 역사가 가능했다”라고 강조했다.
상도동계 출신인 김무성 전 의원은 이날도 빈소를 찾아 조문객들을 맞으며 상주 역할을 했다.
이홍구 전 국무총리, 박상범 전 보훈처장 등도 오전에 빈소를 다녀갔다.
델와르 호세인 주한 방글라데시 대사도 빈소를 찾았다. 그는 조문록에 “손 여사의 성숙한 정치 시스템과 민주주의를 향한 희생과 귀중한 공헌을 한국인은 항상 기억할 것”이라고 적었다.

9일 김영삼(YS) 전 대통령 부인 고(故) 손명순 여사 빈소를 찾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조문록에 “하늘나라에서 건강하고 편안하게 사시길 기도합니다”라고 글귀를 남겼다. [촬영 홍준석]
구자열 LS그룹 이사회 의장은 화환을 보내 조의를 표했다.
오후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조문했다.
이 전 대통령은 조문록에 “하늘나라에서 건강하고 편안하게 사시길 기도한다”라고 적었고, 반 전 총장은 “평생 배려, 사랑, 헌신의 정신으로 민주화에 노력하신 여사님의 기여는 오래 기억될 것”이라고 썼다.
1시간 가까이 접객실에 머무르다 나온 반 전 총장은 “김 전 대통령을 의전수석, 외교안보수석으로서 모셨다”며 “(손 여사는) 수석들에게 인삼 같은 것을 꼭 한 박스씩 주며 ‘대통령 잘 모셔달라’고 얘기해줬다”라고 회상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빈소를 찾았다.
유 장관은 “좋은 곳에서 먼저 가신 김 전 대통령을 만날 것 아닌가. 우리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또 다른 세상이니 나라 걱정하지 말고 사셨으면”이라고 애도했다.
오후 늦게 빈소에 들른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김 전 대통령을 보필해 민주화에 크게 기여하신 분”이라고 손 여사를 평가한 뒤 “이분들이 애써 만든 민주주의가 더 발전해야 할 텐데 우리들이 잘하고 있나 모르겠다. 더 잘해야 하겠다, 앞으로도”라고 말했다.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손학규 전 바른미래당 대표, 김 전 대통령의 오랜 이웃이자 ‘꼬마동지’로 알려진 이규희씨, 장기표 특권폐지정당(가칭) 상임대표 등도 조문했다.
오후에는 상주인 차남 김현철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김영삼재단) 이사장, 장손 김성민 씨, 손자 김인규 국민의힘 부산 서·동구 총선 예비후보 등 유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개신교식 절차에 따라 입관식이 엄수됐다.
최동열 김영삼재단 사무총장과 손 여사를 수행해온 김상학 비서실장 등은 종일 빈소를 지켰다.
발인은 11일 오전 8시이다. 손 여사는 국립서울현충원 김 전 대통령 묘역에 합장될 것으로 전해졌다.
minaryo@yna.co.kr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