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남은 의료진도 “번아웃” 호소…유사 진료과 병동 통합·축소 운영
총장은 학교 떠난 의대생 부모에게 복귀 촉구 서한문
(전국종합=연합뉴스)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 16일째를 맞는 6일 의료 현장에서는 환자는 물론 남은 의료진의 부담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급기야 병원에서는 환자가 줄어들자 유사 진료과를 통합해 병동을 운영하고, 남은 의료진에게 휴가 사용을 독려하고 있다.
지난달 정부의 방침에 반발하며 휴학계를 낸 의대생들은 여전히 돌아오지 않고 있고, 의대 교수들이 직접 집단행동에 나설 가능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 전공의 이탈 계속…환자·남은 의료진 ‘부담 가중’
전공의 집단사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전공의 복귀 움직임은 미미한 수준이다.
인천시는 11개 수련병원의 전체 전공의 553명 중 인턴 148명을 비롯한 216명이 재계약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다.
이들을 포함해 계약을 유지하고 있는 전공의 352명도 현장에서 근무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울산지역 유일 수련병원인 울산대병원은 전공의 126명 중 83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들 중 일부는 현장에 복귀했으나, 그 수는 미미한 수준이다.
경기남부 지역의 경우 주요 수련병원 7곳 소속 전공의 가운데 90%가량이 근무하지 않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현장에 복귀하지 않은 채 집단행동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공의 집단 이탈한 사태가 길어지자 환자와 남은 의료진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대구에서는 서울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가 힘들어 지역 병원에 온 환자도 있었다.
서울아산병원을 찾았던 한 중증 환자는 의료진 공백으로 진료가 힘들다는 설명과 함께 경북 안동병원으로 안내받았다.
안동병원은 해당 환자가 이날 신장내과, 혈액종양내과 등 관련 과에 진료받았다고 밝혔다.
병원에 남은 의료진 역시 체력적으로 버티는 데 한계에 이른 상황이다.
대전 한 대학병원 교수는 “중증이 아닌 환자들은 다른 병원으로 옮기고, 입원환자와 외래환자를 줄였다”며 “그런데도 전공의 4명이 서던 당직을 혼자서 하며 버텨야 하는데 체력과 정신력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한 달이 고비”라며 “환자를 보고 싶어도 더 이상 보지 못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고 토로했다.
전북에서는 전날 도내 13개 종합병원 원장이 모여 의료 공백 최소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서일영 원광대병원장은 “한 교수는 지금 60시간 연속 당직을 서고 있다”며 “완전 번아웃이 됐다”고 성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 환자 줄자 병동도 통합 운영 “인력 효율 배치”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가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병원에서는 병동을 축소해 운영하거나 남은 직원들에게 휴가 사용을 촉구하고 있다.
부산대병원은 환자 수가 줄어들면서 1천172병상의 가동률이 50%까지 떨어지자 유사 진료과끼리 병동을 통합해 운영하고 있다.
부산대병원 관계자는 “2개 진료과를 한 병동에서 운영해 현재 50개 병동 가운데 6개 병동이 비어 있다”며 “간호사 등 환자를 돌보는 인력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조처”라고 말했다.
전남대병원은 이날부터 입원 환자가 급감한 2개 병동을 폐쇄하고, 해당 병동 의료진을 응급·중환자실과 필수의료과 등에 재배치했다.
현재 응급·중증 환자만 입원 조치하고 있는데, 이번에 폐쇄되는 성형외과와 비뇨기과 등 2개 병동의 진료 과목에는 응급·중증 환자가 거의 없어 병상이 비어 있었다.
전남대병원 관계자는 “병원이 응급·중증 환자 위주로 수술·진료가 이뤄지다 보니, 일부 진료과 병실은 비게 돼 의료진 재배치 차원에서 병동을 일부 폐쇄했다”며 “의사 인력을 충원할 수는 없지만, 나머지 의료진이 부족한 인력을 보완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공의 94%가 이탈한 제주대병원은 이날부터 간호·간병서비스통합병동을 2개에서 1개로 통폐합했다.
조만간 내과 중환자실 운영 병상수는 20개에서 내과 8개, 응급 4개 등 12개로 축소할 예정이다.
병상 가동률은 70%대에서 30%대까지 떨어진 상태다.
환자가 줄면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차 사용을 독려하고 있다.
제주대병원 관계자는 “간호사들은 기존에는 휴일에도 제대로 쉬지 못할 만큼 바빠 연차를 제대로 쓰지 못하고 금전으로 보상받았다”며 “환자가 줄어 경영상 애로사항도 있어 연차 사용을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 의대 교수들도 강경 태세…학교 떠난 의대생도 미복귀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관련해 정부의 방침에 반발하는 움직임도 커지고 있다.
지난 4일 40개 대학을 대상으로 의대 정원 수요조사를 실시한 것에 대한 여진은 이날까지 이어졌다.
경상국립대 의대 보직 교수 12명 전원은 ‘보직 사직원’을, 보직이 없는 교수 2명은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 대학 의대 관계자는 “증원 신청을 앞두고 대학 총장과 의대 교수 전원이 참여한 회의에서 교수들은 증원 반대 의견을 전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이번 보직 사직원 제출은 대학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진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의대 교수협 비대위는 오는 7일 이번 사태에 대한 심각성을 표명하기 위해 총회를 열고 구체적인 단체행동 착수 여부와 형태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들은 사직서 제출·겸직 해제·국제노동기구(ILO) 정부 제소 등을 검토하고 있다.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의과대학생들의 동맹 휴학도 계속되고 있다.
충북대 의대 재학생 305명 가운데 247명은 지난달 학교 측에 수업 거부 의사를 밝혔다.
충북대는 본과 개강일을 지난달 16일에서 이달 4일로 미뤘다가 25일로 한 차례 더 연기한 바 있다.
학사 일정이 잇달아 미뤄지자 총장이 나서서 학부모에게 당부의 글을 전달하기도 했다.
고창섭 충북대 총장은 지난달 29일 의대생들의 주소지로 ‘학부모들의 많은 관심과 조언을 부탁드린다’는 제목의 서한문을 보내고 “개강을 연기해 학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수업 기간을 고려하면 학사일정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며 “학생들이 본분을 지켜 3월에 수업에 참석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건국대학교 충주 캠퍼스에선 의대 재학생 127명 가운데 81명, 의학전문대학원 재학생은 135명 가운데 134명이 휴학계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의 경우 학과장의 설득 끝에 이날 개강한 신입생 40명 전원이 수업에 참석했지만, 지난 4일 개강한 나머지 80여명의 학생은 수업에 나오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강원대 의대에서는 학생 234명 중 223명이 휴학계를 제출해 1∼4학년 수업이 일시적으로 중단됐다.
강원대는 수업을 11일 재개할 방침이지만,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을 경우 18일 이후로 미루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전북대학교 의대 역시 오는 22일까지 3주간 의예 1학년 기초 필수 교과목과 의예 2학년과 의학 1∼4학년의 전 강의 휴강하기로 했다.
전북대는 전공의 단체 사직으로 학생들을 지도할 전공의가 없는 데다가 교수들의 대학 병원 업무가 가중돼 휴강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전북대 관계자는 “4분의 1을 초과 결석하면 유급 처리가 되기 때문에 의과대 학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민했다”고 말했다.
(박주영 박철홍 천정인 황수빈 백나용 권준우 나보배 정종호 장지현 이성민 신민재 박영서 박성제 기자)
psj19@yna.co.kr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