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2-0028/image-cbfe596c-4721-49ba-9305-032e584e4248.jpeg)
한 서울대 의대 교수가 정부가 발표한 의대 입학생 증원 규모 대비 2배 이상의 입학생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2-0028/image-fea05584-1f80-42b4-8c87-eecbce313499.jpeg)
의대 입학생 증원을 두고 정부와 의료계가 강한 충돌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발언이라 눈길을 끈다.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과 교수는 의대 입학생 증원 갈등과 관련해 27일 일요신문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2-0028/image-e22bd332-da9b-41b0-be9b-8fcaf4ea3e3c.jpeg)
김 교수는 “최근 비급여 진료로 동네 병원 수입이 급증하면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의사들의 이탈이 급증하고 있다. 지방의 경우 앞으로 1~2년 후에 대학병원 말고는 중증 응급환자를 볼 수 없는 상태가 될 것이고, 수도권도 추후 같은 전철을 밟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의사 재배치에 대해 “동네 병원에서 10년 근무한 의사를 어떻게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 응급환자를 보라고 하겠냐. 이미 자기 진료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또 의대 입학생 증원 규모에 대해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의사 수요는 2050년까지 6만 명으로 늘어날 것이다. 수요를 맞추려면 15년 동안 매년 4500명을 증원해야 한다. (정부에서 계획하는) 2000명으론 부족하다”고 피력했다.
김 교수는 “이번에도 못 늘리면 10년 안에 늘릴 수 있을지 20년 안에 늘릴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일부 교수들이 증원 규모를 탄력적으로 500명 조정하는 한에서 합의하자고 하는 건 대표성 있는 이야기가 아니다. 정부는 의사협회나 전공의협의회에서 공식적으로 나온 이야기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결말을 예측할 순 없지만 정부가 이번에도 의사들에게 무릎을 꿇으면 감당할 수 없는 상태가 될 것이다. 의사들의 반대를 뚫지 않고서는 의료 체계의 붕괴는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