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수색대 등 3월까지 시범 적용
(서울=연합뉴스) 김준태 기자 = “어, 탄피 하나가 어디 갔지?”
뭇 군필자들의 등골을 서늘하게 만드는 말이다.
지급받은 실탄만큼 탄피를 반납하는 것은 실탄을 모두 소진했다는 것을 증명한다. 받은 개수만큼 탄피를 반납하지 못하면 실탄을 빼돌린 것으로 오해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 때문에 ‘실전적 훈련’을 표방한 사격훈련에서 장병들은 실전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을 거추장스러운 탄피받이를 소총에 장착해야만 한다.
혹여 탄피가 새어나가 자취를 감추면 훈련은 전면 중지되고 찾을 때까지 무기한 늘어지기 일쑤였다는 게 육군의 설명이다.
이런 사태를 방지하고자 육군은 ‘육군 탄약 규정’ 중 ‘탄피를 100% 회수하여 반납한다’는 부분을 ‘회수한 탄피를 반납한다’는 내용으로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6일 확인됐다.
탄피 회수에 과도한 부담을 느끼지 않고 실전과 동일한 조건으로 사격에 전념할 수 있게 하겠다는 의도다.
규정이 개정되면 군 장병들은 사격훈련 시 소총에 탄피받이를 부착하지 않고 진행하게 된다. 탄피는 현재 진행 중인 훈련과 차후 타 부대가 같은 사격장에서 진행할 훈련에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 회수하고, 연대장·대대장 등 지휘관이 반납 확인서를 제출해 조치하도록 한다.
규정 개정에 앞서 이달부터 3월까지 특전사령부 예하 부대, 전 군단 특공부대, 전방사단의 수색대대 등에 시범 적용된다.
6일 경기 연천의 검성골사격장에서 사격훈련을 진행한 5보병사단 수색대대도 탄피받이 없이 훈련을 진행했다.
이웅 5사단 수색대대장(중령)은 “탄피받이 사용 시 발생하던 탄피 걸림 등 기능 고장도 줄어 연속성 있는 훈련 효과를 기대하게 됐다”며 “앞으로 실 전투 상황을 몸으로 체험하는 실전적 사격훈련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육군은 두 달간의 운영 성과를 검토해 안전대책 등 보완점을 찾고 규정 개정·확대 적용을 검토할 계획이다. 그러나 추후 규정이 개정되더라도 신병교육과 동원훈련에는 적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육군이 전군 최초로 유탄·도비탄 및 사격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차단벽구조사격장’을 건설했다. 사진은 천마여단 장병들이 새롭게 준공된 차단벽구조사격장에서 시험 사격을 실시하는 모습. 2024.1.11 [육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다만 탄피 회수방안 개정과 관련한 안전 우려를 해소할 대책은 필요해 보인다. 일부 장병이 실탄을 몰래 빼돌려 생활관이나 부대 밖 등에서 총기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육군 관계자는 “훈련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불필요한 수고를 들이는 일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개정을 추진한다”며 “적과 싸워 이길 수 있는 부대와 전투원 육성을 위한 실전성 제고방안을 지속 발굴·개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readiness@yna.co.kr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