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기후변화 이대로라면…금세기 말 서울 사망자 최대 82% 증가

연합뉴스 조회수  

서울대 환경대학원 박사과정 논문…여름철 사망자 8천→1만5천명

“지금부터 탄소중립해도 늦어…’기후팬데믹’ 상상 초월”

세계 기상 이변 (PG)
세계 기상 이변 (PG)

[양온하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계승현 기자 = 지금과 비슷한 수준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하면 이번 세기 후반 서울의 여름철 사망자 수가 최대 82%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지금부터 탄소중립을 실천한다고 하더라도 사망자 증가율은 23%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4일 학계에 따르면 서울대 환경대학원 협동과정조경학 박사과정 김상혁(제1저자)씨와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이동근 교수(교신저자)는 지난달 말 한국보험학회지에 게재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여름철 사망자 수 예측’이라는 논문에서 이런 분석 결과를 소개했다.

연구팀은 1997년부터 2022년까지 26년간 여름철(6∼8월) 서울과 부산 지역에서 자살, 사고사 등 외인사를 제외한 모든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를 집계한 결과 연평균 사망자는 서울 8천706명, 부산 4천229명이라고 밝혔다.

이 기간 연간 사망자 수는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2019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인체가 고온에 노출될 경우 온열질환이 발생하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고, 호흡기나 심혈관계 기저 질환이 있으면 이를 악화시켜 역시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연구팀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개발한 ‘공동 사회·경제 경로'(SSP) 4가지 시나리오 모두에서 온도와 습도를 기반으로 산출한 여름철 연간온열지수(WBGT)가 이번 세기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서울과 부산의 여름철 사망자 수도 증가해 2090∼2099년 사이에 최다 사망자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의 경우 ‘탄소중립을 달성한 사회’ 시나리오인 SSP1에서는 1만707명, ‘온실가스를 지금처럼 배출하는 사회’ 시나리오인 SSP5에서는 1만5천860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지금부터 각성해서 탄소중립을 달성한다고 해도 지난 26년간 여름철 평균 사망자 수(8천706명)보다 사망자 수가 23% 늘어날 거란 이야기다. 지금처럼 탄소배출을 이어간다면 이 증가율은 82%로 뛴다.

탄소중립 위해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 적극 추진
탄소중립 위해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 적극 추진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2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탄소중립을 위해 모든 무탄소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왼쪽은 CF(Carbon Free)연합을 이끌고 있는 이회성 회장. 2024.1.29 scoop@yna.co.kr

부산은 사망자 수의 증가율이 서울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서울과 마찬가지로 여름철 사망자 수가 지속해서 증가하기는 했으나, 시나리오별 증가율은 최소 9%에서 19%였다.

이 지역 여름철 평균 사망자 수는 4천229명인데, 2090∼2099년 여름철 사망자는 4천617명∼5천28명으로 현재 대비 약 800명까지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과 부산의 인구수 차이와 더불어 두 도시 간의 기후적 특성에 의한 것이라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부산은 이미 연평균 습도가 78%에 달하는 만큼, 증가할 수 있는 WBGT의 한계치가 낮아 서울보다 사망자 수 증가 폭이 낮게 나타난 것이다.

교신저자인 이동근 교수는 “지금부터 아무리 탄소중립을 한다고 해도 기온과 습도는 오르고 초과 사망자는 발생하게 돼 있다”며 “어떻게 보면 지금, 이 순간이 가장 좋은 기후를 누릴 수 있는 시기”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기후변화 팬데믹’은 2030년 같은 가까운 미래에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처럼 보이지만, 2040년, 2050년이 다가오면 굉장히 위험할 수 있고, 2080년쯤 되면 상상을 초월할 정도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key@yna.co.kr

연합뉴스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AI 추천] 공감 뉴스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빠르고 강력한 EV9 등장에 국내외 발칵!” 기아 EV9 GT 출시 예고
  • 플랫폼·콘텐츠 고르게 성장한 카카오…'카카오톡'·'AI' 주력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지금이 구매 적기라는 현대 자동차의 파격 할인 차량은?!”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런게 현실 드림카” 포르쉐 가격, 벤츠 AMG CLE 53 카브리올레 출시
  • “가격 2배? 타스만 사겠네” 7천짜리 포드 브롱코 잘 팔릴까 한숨 푹
  • “렉스턴 픽업 계약 취소!” 3천짜리 기아 타스만 역대급 스펙
  • “옵션 비싸겠네” 현대차 신차에 들어갈 역대급 기능 공개
  • “25년만의 후륜 구동 볼보” 아이오닉부터 테슬라까지 잡으러 온다!
  • “도대체 언제 나와?” 예비 오너들 목 빠지게 하는 EV5 알아보기
  • “겨울에도 끄떡없는 BYD 전기차?” 믿기 어려운 저온 주행거리에 갑론을박
  • “부모님 얼굴 좀 보자” 횡단보도 시민까지 위협한 무개념 10대 폭주족들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제네시스 이제 어떡하나” … 초특급 대형 세단 등장 소식에 회장님들 ‘관심 폭주’

    차·테크 

  • 2
    "많이 보고 싶었어" LG 캠프에 깜짝 등장…'29년 만의 KS 우승→눈물의 작별' 잠실 예수가 떴다 [MD스코츠데일]

    스포츠 

  • 3
    바다를 품은 맛, 오션뷰 기장 맛집 BEST 3

    여행맛집 

  • 4
    “‘대치동 키즈’도 이젠 옛말이죠”…달라지고 있는 대치동 상황

    경제 

  • 5
    "꿈같은 시간 영원하지 않아" 깨달은 이정후, 하루하루가 소중…부담느낄 '이유'도 '틈'도 없다 [MD스코츠데일]

    스포츠 

[AI 추천] 인기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지금 뜨는 뉴스

  • 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초비상! '아모림의 황태자' 부상으로 토트넘전 결장→'시즌 아웃' 가능성 언급

    스포츠 

  • 2
    KIA 이의리 잇는 좌완 150km 파이어볼러가 뜬다…홍원기의 선택 2025, KBO 1순위 루키의 지각변동

    스포츠 

  • 3
    “애 안 낳아”…교사들 줄어드는 게 다 사교육 때문이라고요?

    경제 

  • 4
    전복장 만들기 옥자연 엄마표 전복장 레시피 만드는 법

    여행맛집 

  • 5
    런닝맨, 번데기부터 시래기·팬티까지! 뜻밖의 멤버별 도플갱어 물건 총출동

    연예 

[AI 추천] 추천 뉴스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빠르고 강력한 EV9 등장에 국내외 발칵!” 기아 EV9 GT 출시 예고
  • 플랫폼·콘텐츠 고르게 성장한 카카오…'카카오톡'·'AI' 주력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지금이 구매 적기라는 현대 자동차의 파격 할인 차량은?!”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런게 현실 드림카” 포르쉐 가격, 벤츠 AMG CLE 53 카브리올레 출시
  • “가격 2배? 타스만 사겠네” 7천짜리 포드 브롱코 잘 팔릴까 한숨 푹
  • “렉스턴 픽업 계약 취소!” 3천짜리 기아 타스만 역대급 스펙
  • “옵션 비싸겠네” 현대차 신차에 들어갈 역대급 기능 공개
  • “25년만의 후륜 구동 볼보” 아이오닉부터 테슬라까지 잡으러 온다!
  • “도대체 언제 나와?” 예비 오너들 목 빠지게 하는 EV5 알아보기
  • “겨울에도 끄떡없는 BYD 전기차?” 믿기 어려운 저온 주행거리에 갑론을박
  • “부모님 얼굴 좀 보자” 횡단보도 시민까지 위협한 무개념 10대 폭주족들

추천 뉴스

  • 1
    “제네시스 이제 어떡하나” … 초특급 대형 세단 등장 소식에 회장님들 ‘관심 폭주’

    차·테크 

  • 2
    "많이 보고 싶었어" LG 캠프에 깜짝 등장…'29년 만의 KS 우승→눈물의 작별' 잠실 예수가 떴다 [MD스코츠데일]

    스포츠 

  • 3
    바다를 품은 맛, 오션뷰 기장 맛집 BEST 3

    여행맛집 

  • 4
    “‘대치동 키즈’도 이젠 옛말이죠”…달라지고 있는 대치동 상황

    경제 

  • 5
    "꿈같은 시간 영원하지 않아" 깨달은 이정후, 하루하루가 소중…부담느낄 '이유'도 '틈'도 없다 [MD스코츠데일]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초비상! '아모림의 황태자' 부상으로 토트넘전 결장→'시즌 아웃' 가능성 언급

    스포츠 

  • 2
    KIA 이의리 잇는 좌완 150km 파이어볼러가 뜬다…홍원기의 선택 2025, KBO 1순위 루키의 지각변동

    스포츠 

  • 3
    “애 안 낳아”…교사들 줄어드는 게 다 사교육 때문이라고요?

    경제 

  • 4
    전복장 만들기 옥자연 엄마표 전복장 레시피 만드는 법

    여행맛집 

  • 5
    런닝맨, 번데기부터 시래기·팬티까지! 뜻밖의 멤버별 도플갱어 물건 총출동

    연예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