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가 한국의 산후조리원을 저출산율 이유로 들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1/CP-2022-0028/image-4e4cf863-2a4b-46af-a4d9-3e261221b786.jpeg)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28일(현지 시각) 최근 한국에서 출산한 뒤 강남의 고급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로레타 찰튼 서울지국 에디터의 경험담을 소개했다.
찰튼 에디터는 자신이 입소한 강남 산후조리원의 서비스를 자세히 소개하며 값비싼 비용 등을 한국의 출산율 문제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매체에 따르면 해당 산후조리원에서는 신선한 식사가 하루에 3번 제공되며 얼굴과 전신 마사지 서비스는 물론 신생아 양육을 위한 수업도 진행된다.
찰튼 에디터는 한밤중 수유를 한 뒤 신생아를 간호사에게 맡기고 독실로 돌아가 잠을 자는 산모의 모습을 소개하며 “잠은 산후조리원에서 산모들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호사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이어 “아기들은 하루 종일 신생아실에서 지내며 산모는 모유 수유를 할 시간이 되면 간호사의 호출을 받고 모유 수유를 하러 간다. 모유 수유를 원하지 않으면 안 해도 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신생아를 24시간 돌보는 간호사들 덕분에 산모들이 출산 후 지친 몸과 마음을 편히 회복할 수 있다는 점을 호평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1/CP-2022-0028/image-5edab8ad-c242-4cf8-99d0-e92fb14c2260.jpeg)
다만 치열한 산후조리원 입소 경쟁률 때문에 임신이 확인되는 순간 바로 예약하지 않으면 입소하기 힘들 정도라는 점도 덧붙였다.
특히 그는 입소 비용이 기간에 따라 최소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까지 호가한다는 데 주목했다.
자신이 입소했던 강남 산후조리원의 경우에도 얼굴과 전신 마사지 등 각종 서비스 비용을 제외하고 2주간 입소 비용이 800만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또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다며 정부의 산후조리 경비 지원을 신청할 수 있지만 일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산후조리원 입소에 드는 막대한 비용이 한국에서 아이를 키우는 전체 비용에서 극히 일부일 뿐이라는 점과 관련해 “한국의 출산율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