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에서 운영하는 유튜브채널 ‘충TV’가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9일 국무회의에서 “충주시 홍보를 맡은 젊은 주무관은 ‘충TV’라는 유튜브를 만들어 참신하고 재미있게 정책 홍보를 해서 구독자가 충주 인구의 두 배를 넘어섰다고 한다. 이런 혁신이 필요하다”고 밝히면서다. 윤석열 대통령은 “(정책을) 어떻게 전해야 국민들께 확실히 전달될지, 철저하게 국민 입장에서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충TV’가 독보적인 채널이라는 점은 부인하기 힘들다. 지자체 유튜브로서 여러 제약과 한계를 극복하고 50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한 점은 이례적이다. 그러나 행정부를 총괄하는 윤석열 대통령의 이 발언을 보면서 우려가 들었다.
우선 ‘충TV’를 필두로 한 경쟁은 이미 심화됐다. ‘충TV’ 등 성공사례가 나오자 지자체와 공공기관 등은 벤치마킹을 하며 정책 홍보에 나섰다. ‘충TV’를 벤치마킹한 B급 공무원 콘셉트가 유행이라는 기사는 4년 전에 나왔다.
‘유튜브 붐’이 예산 낭비를 촉발한 문제도 있다. 2019년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일부 공공기관들이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을 들여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나 부진을 면치 못했다. 한 기관은 9억6561만 원을 들였으나 구독자수는 18명에 그쳤다. 유튜브에 접속해보면 거의 모든 공공기관과 지자체의 유튜브 채널을 살펴볼 수 있는데 대부분 큰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주기적으로 언론에 보도되는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앱 개발 예산 낭비,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예산 낭비 사례와 다르지 않다.
이와 관련 공공기관 유튜브 콘텐츠 제작 경험이 있는 한 콘텐츠제작사 관계자는 이렇게 지적한다. “정작 바이럴을 내는 것이 해당 기관에 어떤 의미에서 도움이 되는지는 명확하게 고민하지 않는다. 잇따라 나오고 있는 B급 공무원 캐릭터들이 실제 어떤 효과를 거두는지도 의문이다.”
‘충TV’의 경우 ‘윗선의 터치가 없는 점’을 콘텐츠의 강점으로 꼽는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공무원 조직 구조상 매우 이례적인 경우다. 당장 대통령부터 특정 유튜브 채널을 콕 찝어 ‘구독자’를 강조하며 모범사례로 강조하는 상황에선 ‘하향식’ 압박이 이어지기 쉽다. 무엇보다 이런 방식의 독려 혹은 압박이 성공으로 이어진다는 보장도 없다. 유명 OTT나 제작사도 실패를 반복할 정도로 콘텐츠의 흥행은 예측하기 매우 어렵다.
주목을 받기 위해 무리수를 두면서 논란이 되는 공공기관, 지자체 채널 문제가 이어지는 상황이기도 하다. 지난해 서울시 강남구 유튜브 채널에서 지역을 비하하고 차별을 조장하는 듯한 콘텐츠를 올려 논란이 됐다. 전북 진안군은 유튜브를 통해 지역 홍보를 하면서 어린 소녀가 폴댄스를 추는 장면을 내보내 비판을 받았다. 최근 ‘충TV’는 갤럭시 스마트폰을 비하하는 듯한 영상을 여과 없이 내보내 논란이 됐고, 2021년에는 한 학생이 자신을 “제주 고씨”라고 하자 “혹시 (고)유정?”이라고 말해 물의를 빚은 적도 있다.
속칭 ‘꼰대’ 손을 타지 않아 B급 감성을 부각하고, ‘선 넘는’ 콘셉트로 자리매김할 수는 있었지만 이는 ‘걸러야 할 것을 거르지 못한’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 대통령부터 구독자 수를 혁신의 상징처럼 강조하며 치켜세우고 있어 이런 선 넘는 경쟁이 부추겨질까 우려가 든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