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추월 후 격차 계속 벌어져…”기업·일자리 집중 탓”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구 격차가 역대 최대인 70만명까지 벌어졌다.
10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3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수도권 인구는 2천601만4천365명으로, 전체 인구의 50.69%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인구는 2천531만1천64명(49.31%)으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보다 70만3천201명 더 많았다.
2019년 처음으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추월한 이래 두 권역별 인구 격차는 계속 커져 왔다.
2019년 2천명이었던 인구 격차는 2020년 24만8천명, 2021년 40만8천명, 2022년 53만1천명으로 커지더니 지난해에는 70만명을 넘어서게 됐다.
정부가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기업과 일자리, 산업시설이 집중된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을 막기 힘든 형국이다.
2022년 대비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경기(4만1389명), 인천(3만96명), 대구(1만1269명), 충남(7천82명), 세종(2천934명) 등 모두 5곳이다.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외에 대구의 경우 ‘경북 군위군’의 편입 등이 전년 대비 인구가 증가한 요인으로 꼽혔다.
세종시는 공무원, 공공기관 종사자 등 젊은 층의 인구 유입이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경북(-4만6천168명), 서울(-4만2천338명), 경남(-2만9천335명), 부산(-2만4천450명), 전북(-1만4천850명) 등 12곳은 인구가 감소했다.
226개 시·군·구 별로 보면 2022년보다 인구가 늘어난 지역은 모두 53곳이었다.
시의 경우 경기 화성시(3만3천528명), 양주시(2만4천594명), 평택시(1만2천493명) 등 21곳이었다.
화성, 평택 등은 반도체 클러스터 확대 등에 힘입은 일자리 창출이 인구를 끌어들인 것으로 분석된다.
군 지역은 전북 완주군(5천405명), 경기 양평군(2천915명), 충남 예산군(969명) 등 12곳이었다.
인구가 늘어난 구는 인천 서구(3만5천345명), 서울 강남구(1만5천771명), 대전 유성구(1만752명) 등 20곳으로 집계됐다.
인천 남동구(-1만3천766명), 경남 창원시(-1만2천449명), 경기 안산시(-1만2천352명), 대구 북구(-1만1천288명), 경기 부천시(-1만160명) 등 시·군·구 173곳의 인구는 감소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인구 감소 지역이 증가 지역(53곳)의 세 배 이상에 달한다.
지역별 인구 이동률은 11.95%로 3년 연속 감소했다.
시도 내 이동률(7.77%)이 시도 간 이동률(4.18%)보다 높았다.
권역별 이동현황을 보면 ▲ 수도권에서 수도권(71만9천973명) ▲ 비수도권에서 비수도권(64만2천978명) ▲ 비수도권에서 수도권(41만5천812명), ▲ 수도권에서 비수도권(36만9천88명) 순이었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은 순유입이 이뤄진 곳은 경기도(4만4천743명), 인천시(3만3천535명), 충남도(1만5천875명), 충북도(3천904명), 세종시(1천692명) 등 5곳이었다.
eddie@yna.co.kr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