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군은 지역민들과 지자체 공무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해 지역 MBTI 성향을 분석한 결과 ENTP인 것으로 진단됐다. 지역 여건상 정주인구보다는 생활인구 유입(E)에 높은 관심을 보였고, 강·유적지 등 자연자원(N)이 풍부해, 이를 토대로 관광산업 투자(T)와 소프트웨어 투자(P)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A군은 자연 휴양지를 활용한 계절축제를 기획하고, 체류 관광상품을 집중 개발하는 데 정책 역량을 모아 관광객 증가 등 생활인구 유입을 통해 활력을 되찾길 기대하고 있다.
26일 행정안전부는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정성적 통계자료인 ‘지역 특성 MBTI(가칭)’ 도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역 특성 MBTI는 사람의 성격을 16개 유형으로 분석하는 MBTI와 유사한 형태로, 인구(E/I), 입지(N/S), 지역가치(T/F), 라이프스타일(P/J)의 4개 특성을 조합해 16개의 지역 유형으로 분석한다. 지역 유형 분석을 위해 지역주민·공무원을 대상으로 120개 질문에 이르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결과 분석을 통해 지역민들이 지역의 인구, 입지, 지역가치,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현재 가지고 있는 인식과 원하는 미래상을 도출할 수 있다.
행안부는 2024년 상반기까지 건축공간연구원과 공동으로 현장과 전문가 의견을 들어 설문 문항, 표본 규모 등을 보완하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지역 특성 MBTI를 지자체에 제공해 활용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
행안부는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89개 지자체가 통계에 기반한 맞춤형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정량적 통계지표도 개발해 제공한다. 건축공간연구원과 함께 올해 ‘인구감소지역 종합지표’를 개발해 89개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각 지자체에 안내했다.
인구감소지역 종합지표는 인구와 공간, 사회·경제·행정 등 3대 부문의 14개 분야, 78개 세부지표로 구성돼 있다. 78개 세부 지표별로 통계값을 도출해 인구감소지역의 지표별 ‘상대적 위치’를 시각화하고, 분석 결과까지 제시했다. 세부지표는 지자체의 관심도가 높은 인구증감률솨 전출인구 비율, 청년 순이동률 등의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각 지자체에서는 종합지표를 활용해 지역의 실질적인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인구감소지역 대응계획 수립 등 지역별 맞춤형 전략을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예를 들어 인구감소지역 종합지표 분석 결과, 빈집과 유휴공간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히 많은 수준이지만, 대도시로 연결된 도로망은 상대적으로 잘 갖춰진 것으로 나타났다면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유휴 녹지공간을 장미정원으로 탈바꿈하고, 빈집을 카페로 개조하는 사업을 대폭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할 수 있다.
행안부는 내년부터 인구감소지역 종합지표를 매년 업데이트해, 생활인구 데이터와 함께 지자체에 제공할 예정이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보는 “인구감소지역의 위기 극복을 위해 통계와 실증에 기반한 인구감소지역의 여건 분석을 개발했다”며 “인구감소지역이 분석된 통계자료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