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안쪽이 타들어가는 증상을 보이는 위식도역류증을 막기 위해서는 생활 습관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17일 고려대 구로병원에 따르면 위식도역류증은 위산 등이 식도로 다시 역류하는 질환이다. 사람의 소화 과정에서 음식물은 식도를 거쳐 위(僞)로 도달하고, 위는 음식을 소화하기 위해 위산을 분비하고 소화를 위해 움직이게 된다. 그런데 위에서 위산과 내용물 등이 식도로 다시 역류하면서 자극하고 이로 인해 불편한 증상이나 합병증을 유발하는 상태를 위식도역류증이라 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보통 가슴이 타는 듯한 작열감, 속쓰림이나 따가움 등이 있다. 위산이 식도와 후두로 역류한다면 입이 시큼하고 씁쓸한 맛을 느낄 수도 있다. 흔하지는 않지만 무언가 목에 걸린 느낌이나 만성적 기침과 같은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위식도역류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소화 기능이 떨어져 위에 음식물이 오래 머물면서 식도 쪽으로 역류하거나, 식도의 기능 저하로 역류된 위산을 내려보내지 못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하부식도 괄약근(식도와 위 사이의 근육)의 압력 저하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위식도역류증은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예방과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음식을 먹은 후 바로 눕기보다는 소화가 충분히 된 후에 눕는 것이 좋으며, 특히 잠자기 전에는 음식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
위식도역류증은 비만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도 있다. 따라서 적절한 운동을 통해 체중 조절이 필요하다. 다만, 음식을 섭취 후 바로 과격한 운동을 하는 것은 오히려 안 좋을 수 있으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흡연도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낮추므로 금연하는 것이 좋다.
생활 습관의 개선 외에도 증상이 심하거나 불편감을 덜어주기 위해 약물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보통 위산억제제를 사용하는데,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를 사용하며, 최근에는 칼륨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P-CAB)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약물치료 등으로도 치료가 어려운 난치성 위식도 역류증의 경우는 시술이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약물 복용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약물 치료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오랜 기간 치료로 인한 비용적 부담, 지속적으로 재발하는 경우에는 내시경적 시술로 고주파 스트레타 시술, 점막하 절제술 등의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 역시 고려할 수 있다. 위식도 역류증의 수술적 치료는 서양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흔하게 시행되고 있는 방법으로 복강경 수술로 큰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받을 수 있다, 약물치료와 비교했을 때도 장기적으로 좋은 결과가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서양과 우리나라에서 증가하고 있는 위식도 역류증을 오래 앓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식도 경계부 선암의 발생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다.
김종한 고려대 구로병원 위장관외과 교수는 “위식도역류증은 흔한 질환 중 하나이나 치료를 미루고 방치하는 경우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면서 “만성질환으로 발전하는 경우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적극적인 생활 습관 개선과 병원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