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국립공원이 안전 산행을 위한 경각심을 높이는 취지로 게시한 ‘입산 금지 경고문’이 논란이다.
사망 사고 발생이 잦은 지역임을 알리기 위해 추락사한 등산객 사진을 그대로 공개했기 때문이다.

설악산국립공원 측이 토왕성폭포 일대에 시신 사진을 부착한 사실이 조선닷컴을 통해 17일 전해졌다.
조선닷컴에 따르면 지난 6월 설악산을 방문한 한 등산객은 곳곳에 설치된 경고문을 봤다.

경고문에는 ‘잠깐! 이래도 가셔야겠습니까?’, ‘현재 이 구간은 출입 금지구역입니다. 매년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매우 위험한 지역입니다’, ‘생명을 담보로 한 산행은 가족에게 불행을 줍니다’, ‘정규 탐방로를 이용하세요’라는 등 내용이 적혀 있었고, 사진 2장도 부착돼 있었다. 사진 속엔 산행 중 추락한 것으로 추정, 팔다리가 꺾이고 피가 흥건한 상태의 등산객 모습이 담겨 있었다.
이 경고문을 본 등산객은 “(경고문이 부착된 곳은) 워낙 위험한 구간이라 경고하는 취지인 건 알지만, 사진 수위가 너무 높은 게 아닌가 생각했다”고 조선닷컴에 말했다.
다른 등산객 역시 “이 사진을 과연 (사진 속 사망한 등산객의) 유족에게 허락을 받고 쓴 것일까 (의문이 든다)”라며 “고인에게 좀 심한 게 아닌가 싶다”고 혀를 내둘렀다.

입산 금지구역 출입을 막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으나, 모자이크나 블러(흐리게 처리) 등을 하지 않은 다소 잔인한 사진을 공개적으로 게시한 것이 바람직했느냐를 두고는 여러 말이 나온다. 너무 자극적인 데다 혹여 어린아이도 등산 중 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아무리 금지구역이라고 강조해도 등산객이 계속 출입하니 오죽하면 저렇게까지 했겠냐는 반응도 있다.

이와 관련 국립공원 측은 조선닷컴에 “현재 모든 국립공원은 환경부에서 지정한 정규 등반로만 이용할 수 있다. 해당 구간은 (출입 금지 구역이어서) 입산을 금지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진 게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담당자가 파악 중”이라고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