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폐비닐·봉제원단·폐현수막 등 모든 폐기물의 자원화를 목표로 ‘자원순환경제도시’로의 전환에 나선다. 2026년까지 코로나19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나 폐플라스틱 발생량을 10% 줄이고, 재활용률은 10%포인트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2025년부터는 일회용컵 사용 시 보증금 300원을 부과하는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시행하고, 한강공원은 ‘일회용 배달용기 반입 금지구역’으로 운영한다.
시는 7일 이 같은 내용의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일회용 플라스틱 없는 건강한 일상 조성 △재활용품 분리배출 인프라 확충 △플라스틱 자원화·선순환 체계 구축 등 3대 추진전략과 22개 세부과제로 이뤄졌다. 이를 통해 하루 플라스틱 발생량을 현재 2753톤에서 2026년까지 2478톤으로 10% 줄이고, 재활용률은 69%에서 79%까지 끌어 올린다는 목표다.
먼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일회용컵, 음식 배달용기, 상품 포장재 등 3가지 품목을 중점적으로 감축한다. 2025년부터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도입해 커피전문점 등에서 일회용 컵을 쓰면 보증금 300원을 부과한다. 이달부터 11월까지는 개인 컵에 음료를 주문하면 300원을 할인해주는 ‘개인 컵 추가할인제’를 시범 운영한다.
영화관·경기장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다회용컵을 이용하도록 하고, 대형건물 내 카페는 다회용컵을 도입하도록 권장한다. 다회용 그릇으로만 음식을 배달하는 ‘제로식당’ 서비스는 현재 10개 자치구에서 2026년까지 서울 전역으로 확대한다. 세제·음식 등을 다회용기에 담아주는 ‘제로마켓’도 1000곳으로 늘린다.
그동안 일회용품을 대량으로 사용해온 장례식장, 행사·축제, 체육시설 등은 다회용컵과 용기를 사용하는 ‘제로 플라스틱’ 거점으로 전환한다. 공공기관이 주최하는 모든 행사·축제의 푸드트럭은 다회용기 사용이 의무화된다.
한강공원은 일회용 배달용기 반입을 금지하는 ‘제로 플라스틱존’으로 운영한다. 올해 잠수교 일대를 시작으로 2024 뚝섬·반포, 2025년 한강공원 전역으로 확대한다. 주요 업무지구인 서대문역~청계광장~을지로, 시청 일대 카페·음식점을 ‘일회용 플라스틱 청정지구’로 조성하고 향후 강남과 마곡지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재활용품을 편리하게 분리배출 할 수 있도록 주거지 가까운 곳에 ‘분리배출 인프라’도 대폭 확충한다. 문전 혼합 배출이 이뤄지고 있는 ‘단독주택·도시형생활주택 밀집지역’ 재활용 분리배출 거점을 현재 1만3000곳에서 2026년까지 2만곳으로 늘린다. 또 동네마다 ‘자원관리사’를 지정해 재활용품 배출을 돕는다.
버스정류장·원룸촌 등 재활용 쓰레기가 무분별하게 뒤섞여 배출되는 사각지대에는 분리배출함과 스마트회수기, 자원회수 스테이션 등을 설치한다.
재활용 선별시설은 현대화·자동화한다. 내년 중 하루 최대 230톤의 폐기물을 추가 처리할 수 있도록 은평·강남·강동 선별시설의 일일 처리용량을 각각 30톤에서 150톤, 80톤에서 120톤, 70톤으로 늘린다. 2026년까지는 현재 도봉구에서만 운영하고 있는 인공지능(AI) 선별 로봇을 모든 공공 선별시설에 확대 도입한다.
이인근 기후환경본부장은 “플라스틱 문제는 이제 더 이상 늦춰선 안 될 도시와 인류 생존을 위한 당면 과제”라며 “서울이 세계적인 ‘순환경제 모범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의 관심과 동참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