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국무부는 일본 도쿄(東京)전력 후쿠시마(福島) 제1 원자력발전소 ‘처리수(오염수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을 국제 규제 기준 이하로 제거한 물)’의 해양 방류와 관련,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원자력 안전 기준을 포함한 국제기준에 부합하고 안전하다”고 재차 밝혔다.
베단트 파텔 국무부 부대변인은 5일(현지시간)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를 중국의 경제적 강압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이 이 자리에서 말한 것처럼 미국은 일본의 계획에 만족하고 있다며 이같이 답했다.
이어 파텔 부대변인은 “일본은 과학에 기반하고, 투명한 절차에 따라 실시하는 계획에 관해 IAEA와 적극적으로 조정해 왔다”며 “또한 우리는 일본의 파트너가 이 문제에 관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과학자 및 파트너에게 의견을 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람 이매뉴얼 주일본 미국대사는 지난달 31일 후쿠시마를 방문해 농수산물을 시식하기도 했다.
|
|
중국은 일본이 처리수를 해양에 방류하기 시작한 지난달 24일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반면 유럽연합(EU)은 지난달 3일 일본산 식품에 대한 수입 규제를 완전히 철폐했다. 한국은 후쿠시마·미야기(宮城) 등 8개현 수산물 등을 전면 수입 금지하고 있다.
|
파텔 부대변인은 ‘중국이 일부 영토 및 해양 영유권 분쟁 지역을 자국의 영토로 포함한 공식 지도를 공개한 것’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는 “중국의 영토 및 해양 영유권 주장을 거부하는 많은 국가의 항의 물결을 촉발했다”며 “미국은 지도에 반영된 불법적인 해양 영유권 주장을 거부하고, 남중국해 및 기타 지역에서 국제 해양법에 따른 영유권 준수를 중국에 촉구한다”고 답했다.
중국 자연자원부는 지난달 28일 발표한 ‘2023 표준지도’를 통해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지역과 인도·일본·러시아 등과의 국경 분쟁 지역을 대부분 자국 영토로 표시해 인도·말레이시아·베트남·필리핀·일본·대만 등 주변국 및 지역의 항의를 샀다.
특히 지금까지 중국이 남중국해 영유권을 주장한 지역이 9개선(구단선)으로 구성돼 있었는데 이번 지도를 10단선으로 확대됐다.
네덜란드 헤이그의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가 2016년 7월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을 부인하는 판결을 내린 후에도 중국은 해양 진출과 군사기지 건설 등을 통해 남중국해 분쟁 지역의 영유권을 기정사실로 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