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사노동조합이 서이초등학교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A 교사와 관련해 해당 학교에서 근무한 교사들의 제보를 공개했다.


서울교사노동조합(이하 서울교사노조)은 21일 ‘서이초 사건에 대한 제보 종합’ 성명문을 공개했다.
서울교사노조는 “동료 교사가 기억하는 고인의 모습을 제보받아 추모의 뜻으로, 진실이 밝혀졌으면 하는 마음으로 성명하고 있다. 제보 교사에 대한 연결은 불가한 점 양해 부탁드린다. 용기를 낸 제보 교사들 또한 신상이 특정될까 두려워하는 상황이므로 제보 교사가 근무한 해를 202n년으로 기록하는 부분 참고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이어 “고인의 사인이 개인적 사유에 있다는 일부 보도가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짊어져야 할 고질적인 문제를 전혀 짚고 있지 못한다는 점에 개탄한다”라며 “서울교사노조는 202n년부터 2023년까지 서이초에서 근무했거나 현재도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의 제보를 받았다”라며 제보 내용을 공개했다.
서이초에서 202n년 학교 폭력 업무를 담당했던 B 교사는 근무 당시 경험에 대해 서울교사노조에 제보했다. B 교사에 따르면 B씨는 학교 폭력 사안 처리 당시 한 학부모에게 “나 OO 아빠인데 나 뭐 하는 사람인지 알지? 나 변호사야!”라는 협박을 들었다.
B 교사는 학교 폭력 업무 당시 업무 피로를 회상하며 서이초의 민원 수준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라고 밝혔다. 또 학교 폭력 민원과 관련된 대부분의 학부모가 법조인이었다고도 했다. B 교사는 학부모 민원이 너무 많아 대부분 교사가 근무를 매우 어려워했다고 털어놨다.
또 C 교사는 서이초에 근무했던 저 경력 교사들에 대한 죄책감을 털어놓기도 했다. C 교사는 지난 3월부터 서이초에 저 경력 교사 5명이 근무했다고 했다. 그는 “경력이 있었던 나도 힘이 들었는데 저 경력 교사가 근무하기에는 매우 힘든 학교였다”라며 “울면서 찾아온 후배 교사에게는 위로를 해 주고 도움을 준 적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그러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A 교사와 같은 학년 소속은 아니었으나 같이 근무했던 D 교사는 고인의 학급에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학생이 있어 A 교사가 매우 힘들어했다고 증언했다.
증언 중에는 A 교사가 학부모에게 수십 통의 전화 민원에 시달린 일에 대한 제보도 있었다. E 교사는 A 교사의 학급 학생이 연필로 뒷자리에 앉은 학생의 이마를 긋는 사건이 발생한 뒤 가해자 혹은 피해자의 학부모가 A 교사의 개인 휴대전화로 수십 통의 전화를 했다고 증언했다.
이에 A 교사는 “내가 휴대전화 번호를 알려준 적이 없고 교무실에도 알려준 적이 없는데 내 번호를 어떻게 알고 전화했는지 모르겠다. 소름 끼친다. 방학 후 휴대전화 번호를 바꿔야겠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사건은 A 교사와 다른 교사의 도움으로 일단락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A 교사는 해당 사건 이후 “선생님 때문이야”라고 수업 시간 중 소리 지르는 학생 때문에 환청에 시달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F 교사도 학부모가 교무실로 찾아와 A 교사에게 “애들 케어를 어떻게 하는 거냐”, “당신은 교사 자격이 없다”라고 발언했다고 밝혔다. 특히 G 교사는 “학교 차원에서 함구하라고 해서 그냥 있다”라고 증언하기도 했다.
서울교사노조는 “아직 경찰에서는 ‘의혹을 확인할 수 있는 외부 정황이 없다’라는 의견만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서울교사노동조합은 학부모의 과도한 민원과 학생 생활지도의 어려움을 짐작할 수 있는 여러 정황을 추가 제보를 받아 확인했다. 이에 경찰과 교육 당국은 이 점을 간과해서 안 될 것이며 유족을 비롯한 전국의 교사 등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진상 규명을 위해 철저한 조사를 거듭 촉구한다”라고 강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