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버지니아주 국방부 청사(펜타곤) 부근에 큰 폭발이 있었다는 가짜 이미지가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중심으로 퍼져 화제가 됐다. 전세계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등 일시적인 여파도 나타났다.
22일(현지시간) 미국 CNN 등 외신에 따르면 펜타곤 근처에서 폭발이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가짜 이미지가 여러 트위터 계정에서 공유됐다. 사진에는 펜타곤 영내에서 검은 연기가 치솟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인공지능(AI)이 만들어낸 허위 이미지로 추정되는 이 사진은 트위터가 공식계정임을 인증한 ‘블루체크’ 계정을 중심으로 공유되면서 금융시장에도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트위터를 중심으로 확산…증시 한때 출렁여
이 사진은 월요일인 이날 오전 9시 전후로 한 극우단체 큐어넌(QAnon)과 연관된 페이스북 계정에 처음 올라왔다고 전해지며, 그 뒤 트위터에서 빠르게 확산했다.
블룸버그 통신으로 착각하기 쉬운 블룸버그 피드(bloombergfeed), 160만 명이 넘는 팔로워를 둔 월가의 유명 블로거 제로헤지, 수십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일부 ‘블루체크’ 계정들이 해당 사진을 공유했다. 이를 근거로 인도 방송사와 러시아 해외 선전매체 등은 실제로 펜타곤 폭발 추정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 폭발은 없었고, 펜타곤을 관할하는 버지니아주 알링턴 소방 당국은 “펜타곤이나 그 근처에서 폭발이나 사건은 발생하지 않았다”라고 공지했다.
한 국방부 대변인도 매체를 통해 “우리는 이것이 오보임을 확인했다”며 “국방부는 오늘 공격받지 않았다”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미 SNS를 중심으로 해당 이미지가 퍼진 여파로 다우지수는 오전 10시6분에서 10시10분 사이에 약 80포인트가 하락하는 등 영향을 받았다. 다만 증시는 해당 이미지가 조작됐음이 알려진 직후 곧바로 회복됐다.
이 사진을 두고 전문가들은 펜타곤 폭발 사진은 AI가 만들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인 해니 패리드 버클리대 교수는 “사진 속 건물과 울타리에 구조적 오류가 보이는 등 전형적인 AI 합성 징후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영국 탐사보도 매체 벨링캣의 닉 워터스 연구원도 “이와 관련한 다른 사진이나 동영상, 목격자도 없다”며 이 사진이 AI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돈 내면 장땡’? 트위터의 불합리한 정책이 확산 부추겨
이처럼 AI 생성 이미지가 무분별하게 확산한 데는 유명 인사나 신뢰할 만한 기관에만 부여하던 ‘블루체크’를 누구나 매달 8달러만 내면 받을 수 있도록 한 트위터의 책임도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직 많은 이용자가 ‘블루체크’가 붙은 계정을 ‘공식 계정’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 ‘블루체크’ 계정들이 가짜뉴스를 퍼 나르다 보니 사람들이 쉽게 사실이라고 믿는 것이다.
한 매체는 “가짜 이미지를 유포한 일부 계정엔 ‘블루체크’가 붙었지만, 진실을 공유한 미 국방성 방호국(PFPA) 공식 계정엔 ‘블루체크’도 회색 체크(‘블루체크’와 별도로 정부 계정·공인 등에 붙는 마크)도 없었다”며 트위터 정책의 불합리함을 꼬집었다.
AI 발 가짜 이미지가 논란이 된 건 처음이 아니다. 지난 3월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수갑을 차고 경찰에 연행되는 가짜 사진이 유포됐다. 얼마 지나지 않아 프란치스코 교황이 명품 발렌시아가의 패딩을 착용한 허위 사진이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펜타곤 이미지는 금융시장을 출렁이게 하는 등 실제 피해를 불러왔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훨씬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AI 발 가짜 정보가 사회적 혼란을 유발할 것이란 우려가 기우가 아니게 됐다는 분석이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