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 전문직들의 일자리 대물림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 부모가 의사, 변호사 등 고소득 전문직일 경우 자녀 역시 같은 고소득 전문직일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8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정책연구 보고서 ‘고소득 전문직 일자리 배분의 공정성 연구’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아버지가 고소득 전문직일 경우 자녀도 고소득 전문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42.1%에 달했다.
연구진은 한국노동패널조사 1차(1998년)~24차(2021년) 원자료 중 1만1083명(모)~1만3754명(부)을 추적조사했다.
그 결과, 부모의 직업이 1군 직업군(전문직·고위 임직원 및 관리자)일 때 자녀가 1군에 속한 비율은 아버지의 경우 38.1%, 어머니는 40.6%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직업이 2군 직업군(사무종사자·기술공)일 때 자녀가 1군에 속할 확률은 아버지의 경우 21.7%, 어머니는 19.5%로 1군 직업군에 비해 낮다. 3군 직업군(서비스·판매직, 농어민,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부모를 둔 자녀가 1군에 속할 경우는 아버지는 16.9%, 어머니는 18.1%에 불과했다.
특히 부모가 1군 중 소득 50%에 속하는 직업을 가졌을 경우 자녀 역시 상위 50% 1군 직업을 가질 확률은 18.5%(부), 25.9%(모)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분석 기간 중간 지점인 2010년 전후 이 같은 부모와 자녀 직업 계층 이동성을 비교한 결과, 아버지와 자녀가 같은 1군에 속한 비율은 1998~2009년 34.9%였지만 2010~2021년 42.1%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가 상위 50%의 1군에 속한 비율은 1998~2009년 11.0%(부), 20.0%(모)에서 2010~2021년 25.2%(부), 30.4%(모)로 급증했다.
연구진은 “고소득 전문직의 부모·자녀 세대 간 대물림 양상이 최근 시기에 올수록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