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노역하다 왼손 검지가 잘렸는데 일본인 감독관이 ‘웃기다’며 손가락을 공중으로 연신 던졌습니다. 그것에 대한 울분이 남아있습니다”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김성주 할머니는 지난 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눈물을 흘리며 이같이 말했다. 이 간담회는 6일 정부가 발표한 강제징용 해법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시민단체들이 구성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이하 평화행동)’이 긴급히 마련했다.
김 할머니는 “일하면 돈도 준다고 꼬셔서 데리고 가서 평생 골병들게 이렇게 만들어놓았다”며 “일본에 사죄받으려 하는데 (지금은) 애먼 소리만 나오고 있다”며 “지금도 일본은 잘못했다고 말 안 하는 심보다”라고 울분을 토했다.
함께 자리한 또 다른 강제징용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는 “(소학교) 교장선생이 일본에 가면 공부를 시켜준다고 했지만, 미쓰비시에 가서 고생만 했다”며 말했다. 양 할머니는 “배가 고픈 게 힘들었다”며 “일본 여성들이 먹다 남긴 밥이라도 먹고 싶은데 굳이 그것을 짓이겨 밟고 갈 때가 제일 서러웠다”고 회상했다.
두 할머니는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최종 승소했고 정부의 해법대로라면 한국 기업이 출연한 기금으로 손해배상을 받게 된다. 그러나 할머니들은 이런 방식의 손해배상을 거부한다는 뜻을 재차 밝혔다.
간담회에 참석한 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은 “절차적 정당성을 갖추기 위해서인지 외교부에서 (피해자들에게) 집요한 만남을 요청해왔다”고 말했다. 실제로 정부는 법원에서 확정판결을 받은 강제징용 소송 3건의 피해자 15명 중 13명의 피해자, 유족, 가족을 접촉해 해법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고 밝혔다.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은 정부의 졸속 의견 청취를 비판하며 “빠른 해결을 바라는 것은 맞지만 이런 식으로 해결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정의기억연대, 민족문제연구소, 민주노총 등 611개 단체로 구성된 평화행동은 이날 간담회에서 긴급시국 선언문을 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2023년 3월 6일은 대한민국 헌정사상 최악의 날, 제2의 국치일로 기록될 것”, “정부가 ‘식민지배는 불법’이라는 우리 헌법의 근본 질서를 스스로 훼손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일본이 진정으로 반성한다면 지금이라도 사죄하고 한국 대법원의 판결을 따르면 될 일”이라고 주장했다.
평화행동에 따르면 1464개 단체를 비롯해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 신경림 작가 등 9020명이 시국선언에 연명했다. 평화행동은 ‘강제동원 해법 무효 범국민 서명’을 시작하며 11일 서울광장에서 강제징용 해법의 무효를 촉구하는 범국민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행사엔 야당 의원들도 참석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과거 잘못된 위안부 합의로 박근혜 정부가 어떤 심판을 받았는지 윤석열 정부는 똑똑히 기억해야 한다”며 “국민이 분노하고 피해자가 분노하는 새로운 문제 야기를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