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러 안보리 결의 찬성, 유럽은 반발
한국, 美 공조하면서도 러 규탄 결의 동참
트럼프 휴전 중재, 외교 지형 변화 예고

미국이 유엔에서 이례적인 움직임을 선보이면서 유럽 전역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년 만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처음으로 관련 결의를 채택했다. 하지만 이번 결의안에는 러시아의 침략 책임이 명시되지 않았다.
전쟁 조기 종식을 원하는 미국이 러시아와의 협상 가능성을 열어두며 결의안을 조정한 결과다.
러시아 책임 빠진 결의안… 미국·중국 찬성, 유럽 반발
현지시간 24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회의에서 미국이 제출한 결의안이 찬성 10표, 기권 5표로 통과됐다. 미국과 중국, 러시아가 함께 찬성한 반면, 영국과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 국가들은 기권하며 반발했다.

결의안은 “분쟁의 신속한 종결”과 “우크라이나·러시아 간 항구적 평화”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지만, 러시아의 책임을 명확히 규정하지 않았다.
비상임이사국인 한국은 찬성표를 던졌다. 미국이 주도한 결의안에 동참하면서도, 러시아 책임이 빠진 점에 대한 아쉬움도 표했다.
황준국 주유엔 대사는 “우리가 지지한 수정안이 반영되지 않은 것은 유감”이라면서도, “이번 결의가 평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가속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엇갈린 미국과 유럽… 한국은 균형 외교 택했다
같은 날 열린 유엔 총회에서도 미국과 유럽의 입장은 엇갈렸다. 유럽과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침공 책임을 명확히 규탄하는 결의안을 제출해 찬성 93표로 통과시켰다.

한국은 이에 찬성했지만, 미국은 러시아, 북한, 이란 등과 함께 반대표를 던지며 논란이 됐다.
미국은 안보리 결의와 동일한 내용을 유엔 총회에서도 통과시키려 했지만 실패했다. 결국, 미국과 유럽의 갈등이 국제무대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 셈이다.
한국은 안보리에서는 미국과 공조해 조기 종식 결의안에 찬성했지만, 유엔 총회에서는 러시아를 규탄하는 결의에도 찬성하며 균형을 맞추려 했다.
이는 동맹국인 미국의 전략을 고려하면서도, 국제사회의 기조를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트럼프의 휴전 중재… 한국 외교에 새로운 변수?

이번 결의 채택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외교 전략과 맞물려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한 뒤 휴전 협상 중재에 나섰으며, 이후 미·러 장관급 회담도 열렸다.
미국은 “러시아도 받아들일 수 있는 결의안을 만들어 협상의 동력으로 삼자”는 입장이었고, 결국 러시아 책임을 묻지 않는 방향으로 조정했다.
이런 미국의 전략 속에서 한국은 안보리 표결에서 미국을 지지했지만, 유엔 총회에서는 러시아 규탄 결의안에도 찬성하며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앞으로 종전 협상 과정에서 한국이 어떤 외교적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