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으로(?) ‘월담’ 영상까지 제출한 윤석열 대통령이다.

25일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측의 마지막 변론이 시작했다.
야권에서는 탄핵소추위원인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박범계·최기상 의원과 조국혁신당 박은정 의원 등이 참석했고, 국민의힘에서도 김기현·나경원·추경호 의원 등이 심판정을 찾았다.
이날 헌재는 채택된 증거들을 우선 조사한 뒤 국회와 윤 대통령 측의 종합 변론을 2시간씩 듣는다. 이후 정 위원장과 윤 대통령의 당사자 최종 의견 진술까지 들은 뒤 변론을 마친다.

국회 측은 계엄 당시 국회 본청 지하 1층의 폐쇄회로(CC)TV 영상을 재생했다. 영상에는 작년 12월 4일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 직후인 오전 1시 6분쯤 계엄군이 무장한 채 건물 내부를 돌아다니는 영상이 담겼다. 국회 측 장순욱 변호사는 “군인들이 전력을 차례로 차단한 후 자리를 떠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장 변호사는 김 단장이 계엄 당시 텔레그램 대화방에 ‘본회의장 막는 게 우선’, ‘진입 시도 의원 있을 듯’, ‘문 차단 우선’, ‘비엘탄 개봉 승인’ 등의 메시지를 올렸다는 언론 보도들을 제시하며 “(김현태 단장의) 증언 내용이 사실에 반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앞서 김 단장은 계엄 당시 ‘국회 봉쇄’는 외부 테러리스트 등의 위협을 차단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증언한 바 있다. 이에 장 변호사는 이 증언을 반박하는 내용의 방송 보도 또한 증거로 재생했다.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우원식 국회의장이 계엄 당시 월담하는 영상을 증거로 재생하며 “아무도 없는데 혼자 스스로 월담하는 장면”이라고 말했다. 당시 국회 출입이 차단된 게 아니라고 주장한 것인데.
김 변호사는 “(이 대표가) 누군가와 악수한다. 계속해서 아무 제지 없이 들어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 우원식 국회의장의 ‘월담’ 사진도 제시하며 “우원식 의장이 담을 넘으면서 뒤에서 누가 사진을 찍었겠죠?”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12월 방영된 문화방송 피디수첩의 ‘서울의밤’ 프로그램 일부를 재생하면서 “국회의원들이 어떤 제지도 받지 않고 국회의사당에 들어갔다. 국회 봉쇄 지시가 없었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헌재는 약 1시간 10분간 증거조사를 마치고 오후 3시 10분께부터 국회 측 종합 변론을 시작했다.
배민지 에디터 / minji.bae@huffpost.kr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