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주시시설관리공단은 가호동에 위치한 ‘화물자동차 공영차고지’의 정기권 이용자를 2월 28일부터 접수한다고 밝혔다.
공단은 지난해 9월 1일부터 해당 차고지를 수탁 운영함에 따라, 총 290면에 대한 정기 이용자를 모집한다. 화물차량 운전자들은 차량 1대당 주차면 1면만 신청할 수 있으며, 정기권 1년 이용료는 차종에 관계없이 출·퇴근용 승용차를 포함할 경우 84만 원, 화물자동차만 이용할 경우 48만 원이다.
이번 모집은 지난해 시범 운영 결과 주차면을 초과하는 신청자가 발생해 장기 대기자가 생긴 점을 고려해, 진주시에 등록된 차량 소유자나 주소를 둔 화물차 운전기사를 우선 선정할 방침이며, 이용자는 전산 프로그램을 통한 무작위 추첨으로 선정된다.
접수기간은 이달 28일부터 내달 10일까지이며,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누리집 고시·공고 및 차고지 주변에 게시한 현수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진주시 시설관리공단 도시경제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진주시설관리공단 관계자는 “진주시 화물자동차 공영차고지의 주차 환경을 개선하고, 화물차주 간 형평성을 높이며 공정한 주차 기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며 “화물차주들의 많은 관심과 신청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진주시 봄맞이 모바일 진주사랑상품권 80억 원 발행으로 소상공인 소득증대 기대
진주시는 봄맞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3월 1일자로 모바일 진주사랑상품권 80억 원을 발행한다.
모바일 진주사랑상품권은 1인당 월 20만 원 한도 내에서 7% 선할인을 받고 제로페이앱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선물 한도는 월 40만 원, 보유 한도는 150만 원이다.
시는 지난 1월 설맞이 진주사랑상품권 160억 원을 발행했다. 그 중 모바일 진주사랑상품권 150억 원은 모두 판매 완료되었고, 지류 진주사랑상품권은 발행액 10억 원 중 일부가 남아 있어 농협, 경남은행, 새마을금고에서 구매할 수 있다.
진주사랑상품권은 가맹점주에게는 수수료가 없고, 소비자에게는 할인 혜택이 있어 현재 모바일(제로페이) 가맹점 수는 1만 6400여 곳, 지류 가맹점은 3700여 곳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진주시 관계자는 “진주사랑상품권 발행이 경기침체로 힘든 소상공인과 시민들에게 도움이 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진주사랑상품권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진주시 누리집(분야별정보>생활정보>진주사랑상품권>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진주시보건소, 정서적 어려움 겪는 시민들에게 전문적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
진주시가 시민들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을 올해에도 지속하여 추진한다.
지난해 7월부터 시작한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전문적인 1:1 대면 심리상담 서비스를 총 8회 받을 수 있는 이용권(바우처)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이에 따른 정부지원금은 총 39만 2000원에서 64만 원까지이며, 본인부담금은 소득수준에 따라 면제되거나 19만 2000원까지 차등 적용된다. 단,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법정 한부모가족은 본인부담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
지원 대상은 △정신건강복지센터·대학교상담센터·청소년상담복지센터·Wee센터·정신의료기관 등에서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국가 건강검진 중 정신건강 검사에서 중간 정도 이상의 우울이 확인된 자 △자립 준비 청년 및 보호 연장 아동 등이다.
서비스를 희망하는 경우 각 기관에서 발급한 의뢰서·소견서(진단서) 등 증빙서류를 지참하여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복지로를 통해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진주시보건소 치매정신건강과 정신건강증진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진주시 관계자는 “우울·불안 등으로 정서적 어려움이 있어 전문적인 심리상담 서비스가 필요한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