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췄다. 또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9%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한은은 25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에서 2.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한은은 작년 10월, 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두 차례 인하한 후 지난달에는 높은 환율 부담 등으로 금리를 묶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2%대를 기록한 건 2022년 10월 이후 2년 4개월 만이다.
이에 따라 한·미 금리차는 1.75%포인트로 다시 벌어졌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4년 5개월 만에 금리 인하에 나선 후 11월에도 금리를 0.25%포인트 내렸지만 올해 1월에는 고환율을 이유로 금리를 동결했다.
트럼프 신정부의 관세 정책에 수출 타격 우려가 높은데다, 정국 불안에 따른 심리 위축과 콘트롤 타워 부재에 건설 투자 등 경기 하강 리스크가 어느 때보다 높아진 점이 작용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리 경제 성장 동력인 반도체와 자동차 등에 대한 관세를 공언한 상태다.

한은은 이날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11월 전망치(1.9%)보다 0.4%포인트 낮아진 1.5%를 제시했다.
트럼프 신정부의 반도체와 철강 등 관세 폭탄에 따른 수출 타격과 내수가 우려된다는 점이 이유로 거론된다.
한은이 연간 전망치를 0.4%포인트 이상 조정한 것은 지난 2022년 11월 당시 이듬해 전망치를 2.1%에서 1.7%로 0.4%포인트 낮춘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한은은 올해 전망치를 지난 2023년 11월(2.3%) 이후 지난해 5월(2.1%), 11월(1.9%) 등으로 점차 낮춰 왔다.
이번 한은 전망치 1.5%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1%), 국제통화기금(IMF·2.0%), 정부(1.8%), 한국개발연구원(KDI·1.6%) 등보다 낮다.
지난달 말 기준 해외 투자은행(IB) 8곳의 평균 전망치(1.6%)보다도 낮다.
한은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치 불확실성을 주요 변수로 판단했다.
이미 지난달 16일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계엄 사태 영향(-0.2%p)을 반영해 성장률을 1.6~1.7% 수준으로 판단했다고 같은 달 20일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정부는 지난 14일 ‘최근 경제동향’에서 “최근 소비·건설 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KDI는 지난 11일 수정 경제전망에서 최근 내수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그동안 높았던 수출 증가세가 조정되면서 성장세가 약화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미국의 통상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등 하방 위험이 확대됐다”며 “내수와 수출 모두 낮은 증가세에 그치면서 성장세가 둔화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한은은 올해와 내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각 1.9%를 유지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과 국제 유가가 크게 상승했지만, 향후 물가상승률은 낮은 수요 압력 등의 영향으로 점차 둔화해 목표 수준(2%) 부근에서 안정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1.3%로 안정됐으나, 11월 1.5%, 12월 1.9%로 다시 높아졌다. 올해 1월에는 2.2%로 지난해 7월(2.6%)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 남해군, 2025년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지원사업 시행
- 오리온, ‘All New 비틀즈’ 재출시
- 한림대의료원,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최고 등급
- 서울우유, A2우유 특허무효심판 청구 인용
- 농심 백산수, 한국국제소믈리에협회와 맞손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