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기아와 삼성SDI가 에너지 밀도를 높여 출력과 사용 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린 로봇 전용 고성능 배터리 공동 개발에 나선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현동진 상무와 삼성SDI 소형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조한제 부사장은 24일 경기 의왕연구소에서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들 업체는 양사가 보유한 자원과 전문 기술 역량을 하나로 모아 로봇에 최적화한 배터리를 개발해 다양한 서비스 로봇에 탑재하겠다는 공동의 목표로 이번 협약을 맺었다.
현재 상용화된 로봇들은 전용 배터리 부재로 전동 공구나 경량 전기 이동수단(LEV) 등에 쓰이는 배터리를 주로 탑재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로봇은 배터리 탑재 공간이 제한적이라 규격에 맞춰 작은 셀을 적용하면 출력 용량이 줄어드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번 협업의 핵심은 배터리 형태를 제한된 공간에 최적화하는 동시에 에너지 밀도를 향상해 출력과 사용 시간을 크게 늘린 로봇 전용 고성능 배터리를 개발하는 것이다.
협약에 따라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신규 개발 배터리의 로봇 적용 평가 및 성능 고도화를 담당한다. 다년간의 로봇 개발 및 운용 경험으로 축적한 기술 노하우를 활용해 배터리 최대 충·방전 성능, 사용 시간 및 보증 수명 평가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삼성SDI는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해 고용량 소재를 개발하고, 설계 최적화를 통한 배터리 효율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 사용 시간이 기존 대비 대폭 늘어나고 가격 경쟁력도 갖출 것으로 기대된다.
두 회사는 이번 공동 개발을 계기로 로봇 전용 배터리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와 삼성SDI는 로봇 시장 저변 확대를 위한 공동 마케팅에 나선다.
우선 다음 달 개최되는 ‘인터배터리 2025’의 삼성SDI 전시관에서 현대차·기아의 서비스 로봇 ‘달이'(DAL-e)와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를 전시한다.
협약식에서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현동진 상무는 “로보틱스랩의 로봇 기술과 삼성SDI의 배터리 기술을 결합하면 장기적으로 배터리 수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시장 확대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갖춘 로봇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삼성SDI 소형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조한제 부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로봇용 배터리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기술력과 최고 품질의 제품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앞서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지난해 6월 성수동에 위치한 ‘팩토리얼 성수’ 빌딩에서 딜리버리 로봇,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첨단 안면 인식 기술 등을 활용한 서비스를 개시했다.
또한 11월에는 착용 로봇 ‘엑스블 숄더'(X-ble Shoulder)를 최초로 공개하고 사업화를 진행하는 등 ‘로보틱스 토탈 설루션’을 구축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