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이 다가오면서 현직 광역자치단체장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면 대선 도전에 나설 것으로 자천타천 호명되는 인사만 10명이다. 17곳 시도지사 가운데 절반이 넘는다. 실제 이들이 모두 당내 경선에 참여할 경우 광역단체장 10명이 휴가 상태에 들어가는 사상 초유의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현재 대선 도전이 유력한 여권 인사로는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유정복 인천시장이다. 박형준 부산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김태흠 충남도지사, 이철우 경북도지사 등도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야권에서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후보로 꼽힌다. 이미 홍 시장과 김영록 지사는 대선 출마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혔고 김관영 전북도지사 역시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후보지가 결정되는 28일 이후로 대권 행보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이 같은 자치단체장들의 움직임은 조기 대선 출마를 통해 정치적 체급을 키우고 내년 6월에 치러질 지방선거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는 셈법이 전제된 것이다. 대통령 궐위 선거인 조기 대선이라는 특수성 탓에 시도지사들에게는 일종의 특수가 조성된 셈이다. 공직선거법상 대선에 출마하려는 지자체장은 선거 90일 전에 사퇴해야 한다고 규정하는데 대통령 궐위에 따른 대선의 경우 30일 전에만 사퇴하면 된다.
정규 대선과 비교하면 경선 기간이 3주 안팎으로 짧고 현직 사퇴 없이도 당내 경선에 도전할 수 있는 데다 경선 비용도 훨씬 덜 든다는 점에서 정치적·경제적 부담을 덜게 된다. 일부 시도지사 측 인사들은 “대선 경선 참여만으로도 정치적 체급을 올릴 수 있다”면서 “특히 각 지자체의 대형 이슈를 띄울 수 있다는 점이 큰 동기 부여가 된다”며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다만 전국 순회 연설과 투표를 위해서는 휴가를 내는 방식으로 경선에 참여할 수밖에 없다. 이규정 고려대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연구교수는 “도민과 시민들에 대한 예의도 아니고, 자연스럽게 도정에 소홀할 수밖에 없다”며 “가뜩이나 계엄 이후 행정력이 더딘 형편에 지방정부까지 힘이 부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