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청은 24일 봄철 해빙기를 맞아 입산객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산악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3월에는 특히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지반 약화로 인해 낙석이나 추락, 미끄러짐 등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소방청은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하고, 낙엽과 돌 등 밟기 조심 △절벽이나 협곡 지날 때 낙석 유의하기 △등산화 착용 및 아이젠 등 안전장비 착용 △겨울철에 준하는 보온용품 지참 △최소 2명 이상 동행 및 산악위치표지판·국가지점번호 확인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2024년) 산악사고로 인한 구조활동(처리)건수는 총 3만 1330건으로, 연평균 1만 443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 325명, 부상 6348명이었다.

요일별로는 주말인 토요일과 일요일에 49.0%가, 인명피해 역시 54.1%가 주말에 발생했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9시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낮 시간대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났다.
특히, 처리건수 대비 인명피해 비율을 분석한 결과 봄의 시작인 3월과 가을철인 10월에 다른 기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김재운 소방청 구조과장은 “등산을 하기 전 자신의 몸 상태를 반드시 점검하고,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해야 한다”며 “무리한 산행은 피하고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119에 신고해주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노혁진 전문기자 rho@public25.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