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 반도체 첨단 패징기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 등 반도체 분야의 기초 기술 수준이 중국보다 낮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들 분야의 경우 불과 2년전인 2022년 진행된 기술수준 평가에서 중국에 모두 앞섰던 터라 관련업계에 충격을 던지고 있다.
23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발간한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 한국의 반도체 분야 기술 기초역량은 모든 분야에서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국내 전문가 3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설문은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기준잡고, 한국과 중국의 기술 수준을 평가하는 상대평가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분야는 한국이 90.9%로 중국의 94.1%보다 낮았다.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기술은 한국이 84.1%로 중국의 88.3%보다 4%포인트 이상 뒤쳐졌다.
이밖에 전력반도체도 한국이 67.5%로 중국의 79.8%에 뒤졌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은 한국이 81.3%, 중국이 83.9%였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은 한국과 중국이 74.2%로 같게 평가됐다.
다만, 기술 수준을 사업화 관점에서 평가했을 때 한국은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과 반도체·첨단패키징기술에서 중국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은 2022년 진행된 기술수준평가 설문에 참여한 이들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들은 당시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 반도체 첨단 패징기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 등의 분야에서 한국이 앞서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불과 2년 만에 중국에 추월당했다고 평가한 것이다.

이들은 반도체 분야 전체를 대상으로 기술 생애주기를 평가한 설문조사에서도 한국이 공정과 양산에서는 중국을 앞서있지만, 기초·원천 및 설계 분야에서는 중국에 추월당했다고 평가했다.
미래 반도체 산업의 바탕에 해당하는 기초·원천 및 설계 분야의 기술 수준이 중국에 뒤처졌다는 것은 향후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이 중국에 밀릴 수 있다고 내다본 것이나 다름없다.
이들 전문가는 또 한국의 반도체 기술수준에 영향을 미칠 미래 이슈로는 핵심인력 유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 미·중 견제, 자국 중심 정책, 공급망 현지화 등이 꼽았다. 이 중 AI 반도체 기술만 한국의 기술수준에 유리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시장에 대해서도 낙관하지 않았다.
그 이유로 일본과 중국의 부상, 미국의 제재, 동남아시아의 급성장 등으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국내 연구개발(R&D) 투자규모가 작은 점 등을 꼽았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첨단 반도체 제조 기술력 확보, 시스템반도체 분야 생태계 확대, 핵심인재 양성 및 기존 인재 유출 방지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