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C가 고 오요안나 사망 사건을 은폐하고 진상조사를 방해하고 있다’는 국민의힘 주장에 대해 MBC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국민의힘과 보수 성향의 MBC 노동조합(제3노조) 측에서 특정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이사의 발언을 왜곡해 비난한 점도 문제됐다.
앞서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19일 직장 내 괴롭힘을 호소하며 숨진 고 오요안나 MBC 기상캐스터 관련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 함께 한 강명일 MBC 제3노조위원장은 “어제 방문진 이사회에서 MBC는 어떻게 고 오요안나 사건에 대해 조사하고 있는지 보고했다”며 “MBC는 ‘오요안나는 프리랜서이므로 근로자성을 부인한다’고 보고했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도 “MBC 경영본부장은 보고에서 ‘오요안나는 프리랜서이므로 근로자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MBC의 입장을 전했다고 한다”며 “MBC 경영진과 방문진이 고 오요안나 사건을 은폐·축소하고 진상 조사를 방해하려는 정황”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두고 MBC 관계자는 20일 미디어오늘에 “방문진과 MBC가 고인의 사망 사건에 대해 ‘은폐, 축소’하거나 진상조사를 방해하려고 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며 “외부 인사를 주축으로 구성된 진상조사위원회가 곧바로 조사에 착수했으며 현재도 진상 파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MBC 관계자는 “MBC는 고인의 고용형태에 대한 질문에 대해 현재 ‘프리랜서 계약 상태’라는 점을 설명한 것으로 이는 근로자성 여부의 판단이 아니다”라며 “MBC는 고인의 근로자성이 없다고 예단한 바 없으며, 당시 보고에서도 근로자성 문제는 정부의 감독을 통해 정해질 문제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고 했다.
국민의힘과 MBC 제3노조는 특정 방문진 이사의 발언을 왜곡해 비난하기도 했다. 기자회견 자리에서 강 위원장은 “야권 추천 이사인 박선아 방문진 이사가 ‘이 사건은 한 명이 사망한 것이기 때문에 대형 참사가 아니므로 사실관계 조사에서 유가족의 조사 참여는 부적절하다’고 얘기를 했다”고 발언했다. 국민의힘 또한 성명에서 이를 언급하며 “노골적으로 진상규명을 방해하겠다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라고 했다.
그러나 미디어오늘 취재에 따르면 박 이사는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이사회에서 유족이 진상조사위원회 참여를 거부했다는 MBC 측 보고를 받은 후, 오 캐스터 사망 사고 후 남아있는 유족의 아픔이 아물기도 전에 조사에 참여하라고 한 것은 무책임한 제안이라고 오히려 MBC를 질타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선아 이사는 20일 미디어오늘에 “MBC는 유족들에게 조사위원회 참여 또는 조사위원 추천을 요청했으나 거부당했기 때문에 MBC 자체적으로 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유족들로서는 대형 참사처럼 유족위원회를 구성해 조직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유족들이 조사위원회에 직접 참여하거나 조사위원을 추천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언급한 것”이라며 “MBC는 단순히 유족의 참여 거부를 언급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보다 세심한 배려를 통해 유족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박 이사는 “MBC가 사실관계 조사가 마무리되고 조사위원회가 합의 및 조사보고서 작성 단계에 있다고 밝힌 만큼, 지금이라도 유족 측의 입장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며 “특히 유족에게 유리하거나 유족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참고인을 조사했는지 확인하고, 만약 이뤄지지 않았다면 추가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조사위원회의 공정성을 높이고 유족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했음에도 그 어떤 확인절차나 이사회 속기록을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허위 사실을 양산하고 있다”라고 했다.
아울러 박 이사는 “야당에 의해서 추천돼 방문진 이사로 선임된 것이 아님에도 ‘야당 추천 이사’라고 언급한 것도 엄연히 허위사실”이라고 반박했다.
관련해 MBC 관계자 또한 “당시 방문진 이사는 유족이 조사위원회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더라도 유족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참고인을 찾는 등 최대한 유족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요구했다”며 “국민의힘 미디어특위의 발표는 조사위의 공정성을 높이고 유족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라는 해당 이사의 취지를 완전히 왜곡했다. MBC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사실을 은폐하거나 축소할 의사가 없으며, 진상조사위원회의 조사와 노동부의 근로감독에 최대한 성실히 임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합당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안호영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은 20일 관련 현안질의를 진행한 환노위 전체회의를 마무리하며 공청회, 청문회 등의 방법으로 비정규직 문제를 공론화하고 제도 개선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안 위원장은 “방송사, 연예기획사, 특수고용, 플랫폼 노동 등 새로운 고용형태가 나타나는 문제이기 때문에 책임있게 공론화하는 게 필요하고, 관련해 공청회·청문회가 필요하다는 부분은 여야 의원들 다 공감하리라 생각한다”며 “구체적인 공론화 방법에 대해선 앞으로 여야 의원들과 간사가 합의하고, 관련해 (MBC) 진상조사와 고용노동부 특별근로감독이 진행되는 만큼 이 문제가 확실히 논의돼 제도적 개선책까지 마련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