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계엄 선포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라고 말했다고 주장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을 향해 국민의힘이 “거짓말로 전 국민을 속였다”고 주장했다.
비상계엄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20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홍 전 차장의 동선이 담긴 국정원 폐쇄회로(CC)TV 영상을 공개하며 홍 전 차장의 진술이 신빙성이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홍 전 차장은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의 핵심 증거인 ‘체포 명단’ 작성 과정에 대해 여러 차례 진술을 번복했지만, 이번에 국정원 CCTV 기록을 통해 그 진술이 사실과 다르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홍 전 차장은 앞서 “계엄 당일 오후 10시 58분에 국정원장 공관 공터에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부 사령관과 통화를 하고 이후 체포 지시 명단을 받아적었다”고 밝혔지만, 특위가 공개한 CCTV 영상에는 그 시각 홍 전 차장이 국정원 본청 내부로 들어서는 모습이 찍혀 있었다. 이에 따라 여당 위원들은 홍 전 차장이 공관 공터에서 통화했다는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홍 전 차장은 지난 18일 언론 인터뷰에서 체포 명단을 작성한 장소가 국정원장 공관 앞 공터가 아니라 국정원 본청 집무실이라고 말을 바꿨다. 이에 대해 특위는 체포 명단 작성 장소가 바뀌면서 홍 전 차장의 ‘체포 명단 대필’ 주장도 설득력을 잃었다고 반박했다.
여 전 사령관과의 통화가 야외가 아니라 집무실에서 이뤄졌다면 ‘어두운 야외에서 명단을 적어 알아보기 어려워 보좌관에게 정서(正書)시켰다’는 홍 전 차장의 주장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게 특위의 주장이다.
특위는 홍 전 차장이 메모를 옮겨 적은 사람이 누구인지 밝히지 않고 있고,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과 언론 보도를 통해 관련 메모가 공개될 때마다 수정한 흔적이 있다는 점도 문제 삼았다.
특위는 “작성 경위와 작성자조차 불분명한 메모가 대통령 탄핵 심판의 핵심 증거로 제시되고 있다”며 “믿기 어렵고 조작 가능성이 있는 증거를 바탕으로 헌법재판이 진행된다면 그 결과를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고, 사회적 갈등만 커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홍 전 차장의 거짓 증언은 대한민국의 사법 질서를 파괴하고 헌법 체계를 붕괴시키는 중대한 범죄”라며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는 탄핵 공작과 내란 몰이에 대해 국민들이 엄중한 심판을 내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위 위원인 장동혁 의원은 홍 전 차장에 대한 법적 조치 여부와 관련해 “오늘 탄핵 심판 변론기일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진술이 있을 것”이라며 “그런 내용을 지켜본 후 법적 조치를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