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프라임 백현우 기자]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인공지능뇌과학사업단의 전지원 교수(교신저자, 의료정보학교실)와 김성민 연구원(제1저자, 의료정보학교실) 연구팀이 55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의료환경에 필요한 디지털헬스리터러시(Digital Health Literacy)를 측정하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인공지능뇌과학사업단과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IF = 5.8)에 이달 온라인 게재되었다.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의료계 전 분야에서 AI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 접근성과 활용 능력의 격차로 인해 노년층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소외 되는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건강 불평등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지원 교수 연구팀은 디딤S(DIDIM;Digital health literacy Improving and Digital health Information Messaging services for Senior)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시니어 대상의 디지털 의료환경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첫걸음으로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설문 도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문헌조사 및 전문가 인터뷰를 바탕으로 초기 문항을 설계하고 55세에서 75세 사이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25문항의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척도를 개발했다.

이 평가 도구는 ▲디지털 기기 사용 ▲건강 정보 이해 ▲건강 정보 판단 및 활용 ▲사용 의도의 4가지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높은 신뢰도와 타당성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이번 평가 도구 개발과 함께 건강 정보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허 출원을 진행했다. 또한, AI 기반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하는 실증 연구도 계획하고 있다.
메디컬프라임 / 백현우 기자 bcbc703@hanmail.net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