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전통주의 지역 농산물 활용 비율을 100%에서 95%로 낮춘다”며 “인접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생산된 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20일 충북 청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K푸드를 수출할 때 전통주도 함께 수출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송 장관은 “전통주 제조업체는 농업회사법인이어야 하거나, 전통적인 제조 방식을 따라야 하며, 주원료 3가지는 해당 지역에서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며 “다만, 지역에서 생산되지 않는 원료가 있을 경우 100% 기준을 맞추기 어려워 이번에 95%로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송 장관은 “전통주 정의를 충족하는 세 가지 요건 중 두 가지만 만족하도록 완화하면 전통주가 더 다양해질 수 있다”면서도 “전통주의 정체성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어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시장 상황을 고려해 전통주 산업이 점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 장관은 “일본이 사케를 만드는 데 연간 30만톤의 쌀을 사용하지만, 우리나라는 국산 쌀만 따지면 5100톤으로 1만톤에도 못 미친다”며 “앞으로 5년 내에 전통주 제조에 국산 쌀 3만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송 장관은 ”전통주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한식과 함께 해외 시장에 선보이는 방안과 재외공관을 통한 홍보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전통주 수출액을 5000만달러(약 719억원)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송 장관은 “국내 대기업들이 해외에서 바이어를 만날 때 전통주가 좋은 선물이 될 수 있다”며 “전경련(현 한국경제인협회) 등 경제단체를 통해 홍보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럼피스킨병의 가축 전염병 관리 등급을 하향할 계획이다. 럼피스킨병은 소에서 발생하는 신종 바이러스 질병으로, 감염된 소는 피부에 결절이 생기는 특징이 있다.
송 장관은 “젖소의 경우 럼피스킨병 치료가 어렵지만, 일반 소는 10주 정도 지나면 회복되는 사례가 많아 살처분이 불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종합적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럼피스킨병의 법정 전염병 등급을 1종에서 하향 조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반려동물 의료비 부담을 낮추기 위한 대책도 마련하고 있다. 송 장관은 “펫보험 도입을 위해 금융위원회와 협의 중”이라며 “펫보험이 빨리 출시되도록 속도 내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사람 병원처럼 동물병원에도 상급병원을 도입하고, 수의사 전문의 제도도 신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 장관은 “2월 셋째 주 기준 K-푸드 플러스(K-Food+) 수출액은 13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다”며 “올해 시작부터 수출 호조세를 기록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K-푸드 플러스 총수출 목표를 140억달러로 설정했다.
다만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올해 농식품 수출에 영향을 미칠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송 장관은 이에 대해 ”국익이 최우선”이라며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다양한 시나리오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비관세 장벽과 관련해 송 장관은 ”대표적인 게 검역 협상인데, 이는 전문가들의 영역”이라며 ”단계별로 위험도를 검토하는 과정이므로 특별히 우려할 사안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협상 대상국이 고려하지도 않은 사항을 우리가 먼저 문제로 제기하는 것은 오히려 그들에게 ‘이것을 협상 카드로 활용하라’는 신호를 줄 수 있다”며 “실무적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하되, 공개하지 않는 것이 협상 전략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댓글0